윤석열 "양국 긴밀히 공조, 국제사회 난제 슬기롭게 대처해야"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평화·발전위한 협력파트너 평가
민주당 "'굴종외교'로 점철된 한일 정상회담, 수치심만 안겼다"

(왼쪽부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왼쪽부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것과 관련해 여야의 입장차이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윤 대통령은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83분 간의 정상회담을 가졌다.  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담은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의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해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한일 간 협력의 새 시대 여는 첫걸음이 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고도화되는 북핵 미사일 위협이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도 큰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일 양국이 서로 긴밀히 공조하고 연대해 이런 불법적인 위협과 국제사회의 난제에 슬기롭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 “한국과 일본 정상은 양국이 국제 사회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함께 할 협력 파트너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간 최대 현안이던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과거사를 직시하면서 상호합의가 가능한 지점에 이르렀다. 일본의 수출규제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문제를 해결해 경제적 협력 관계를 가로막던 장애물도 제거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회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안호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열고 “굴종외교로 점철된 한일정상회담은 국민께 수치심만 안겼다. 또 한번의 외교참사”라며 “받은 것은 하나도 없고 내주기만 한 회담이다. 한일 양국 정상이 만났지만 끝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는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언에 과거사에 대한 책임감은 조금도 찾을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후안무치한 태도에도 윤 대통령이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옹호하기 급급했고 일본 정부를 감싸주려는 모습을 지켜보는 마음은 참담했다고 비판했다.

안 대변인은 “양국 정상들은 미래라는 말로 기자회견을 채웠지만 과거사를 지운다고 해서 양국 관계가 미래로 나아갈 수는 없다”며 “대일 굴종외교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위한 결단’이라고 호도하지 말라. 일본의 사과와 반성, 배상 없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는 기만”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