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평일 오전 9시·오후 5시 북한과 정기적으로 통화
통일부 "상황 더 지켜봐야… 기술적 결함·의도적 무응답 판단"
한덕수 "위협시 응징 느끼도록 해야… 무응답은 유감인 상황"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북한이 군 통신선을 이용한 남북한 정기통화에 사흘 연속 무응답으로 일관한 것에 대해 한덕수 국무총리가 유감을 표했다.
9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북한은 군 통신선 업무개시 통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다. 지난 7일부터 지속적으로 연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일반적으로 통일부는 공동연락 사무소 채널을 통해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북한과 정기적으로 통화한다.
통일부는 모든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고 북한 측의 기술적 결함 또는 의도적 무응답 가능성까지도 열어둔 상태라고 설명했다. 군 통신선과 남북연락사무소 통신선 모두 우리 측 구간엔 기술적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최근 잇따른 한·미연합군사훈련과 유엔인권이사회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등으로 반발 차원에서 고의로 남북 응답을 거부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군 당국은 이날 오후 북한과의 통화를 다시 시도할 계획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KBS ‘일요진단 라이브’ 인터뷰에서 “북한이 만약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는 그것에 대한 확고한 응징이 있다는 것을 북한이 느끼도록 해야 한다”며 “동시에 대화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한다면 우리는 미국, 동맹국, 협력국과 같이 북한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계속 해나가야 한다”며 “그런 점에서 이번에 전화선을 통한 연락이 끊어진 것은 상당히 유감이고 곧 북한이 복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대통령실 "기업 채용공고 때 임금 공개 유도"… 등돌린 20대 맞춤 정책?
- 1700억 승소 쉰들러그룹, 강제집행에 현정은 현대 회장 경영권 사수 총력전
- 국토부, '타워크레인 태업' 54건 적발… 기사 21명 면허정지 절차 착수
- '강남 납치·살해' 사건 피의자 이경우·황대한·연지호, 오늘 검찰로 송치
- 외국인 매료시킨 'K-라면'… 올 1분기 수출액 2억달러 첫 돌파
- [날씨] 오늘도 '꽃샘추위' 이어져… "극심한 일교차 주의해야"
- 40년 설계수명 종료 고리2호기 '가동중단'… 안전성 점검후 2025년 재가동
- 중국 이기려면 '인재 필수'… LG엔솔, 미국서 영입 나섰다
- '강남 납치·살해사건' 재력가 부부도 공모 관계… 부인 구속영장 신청
- '한국판 홀로코스트' 북한인권센터… 마곡에 들어선다
키워드
#북한
#군 통신선
#남북한
#남북한 정기통화
#무응답
#통화시도
#연결 실패
#통일부
#공동연락 사무소
#정기 통화
#의도적 무응답
#기술적 결함
#남북연락사무소
#한·미연합군사훈련
#유엔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북한인권결의안
#한덕수 국무총리
#국방부
고정빈 기자
viz3305@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