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광양 제철소 동호안 부지 방문해 '입지 규제' 완화 약속
그룹사 이차전지소재 등 신사업 추진 핵심 거점으로 탈바꿈 전망
김학동 부회장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 도약, 국가경제에 기여"

한덕수 국무총리(가운데)가 지난 19일  정부 관계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들과 포스코그룹 광양제철소 동호안 부지를 방문해 김학동 그룹 부회장(오른쪽 끝)에 해당 부지 개발계획 브리핑을 듣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운데)가 지난 19일  정부 관계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들과 포스코그룹 광양제철소 동호안 부지를 방문해 김학동 그룹 부회장(오른쪽 끝)에 해당 부지 개발계획 브리핑을 듣고 있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앞으로 10년간 전남 광양 동호안 산업단지에 4조40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를 비롯한 수소 생산, 황산니켈 정제 등 신성장산업 부문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포스코그룹이 신사업 추진 거점으로 삼기로 한 동호안 부지를 방문했다. 한 총리는 이 자리에서 특정 업종으로 시설 입지가 제한된 산업단지의 입지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규제 완화 시점에 대해선 올해 상반기 중으로 입법예고를 마치겠다는 구상이다. 포스코그룹은 해당부지를 미래사업 핵심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그룹의 주력도 기존 철강에서 점차 신사업부문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당장 그룹은 동호안 부지에 4조4000억원 가량을 투자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김학동 포스코그룹 부회장은 이와 관련 “이차전지 소재사업 등을 하는 그룹사가 사업을 하려면 많은 장애 요인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실제 광양제철소 동쪽 바다에 있는 동호안은 포스코가 바다로 인한 제철소 부지 침식을 막기 위해 만든 매립지였다. 포스코는 이후 설비 확장을 위해 공유수면 매립 승인을 받았고, 유휴부지 및 미매립지를 활용한 신사업 투자를 검토해 왔다.

다만 부지에는 제철 관련 업종만 들어올 수 있어 규제 완화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한 총리의 방문도 현장 점검 차원에서 이뤄졌으며, 정부는 포스코에 신사업 투자 등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동호안 부지를 철강과 국가첨단산업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미래형 산업단지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며, 지속적인 투자로 지역과 상생하는 등 국가 경제에도 기여하겠단 목표다.

김학동 부회장은 “신속한 관련 법령 개정과 광양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포스코그룹은 철강을 넘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도약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