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2024년 4월9일 표기된 제품 대상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김밥에 넣는 조리된 우엉(염장우엉)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보존료가 검출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판매 중단과 회수 조치에 나섰다.
26일 식약처에 따르면 세종시 연기면 소재 대창농산이 제조한 김밥우엉에서 보존료(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가 기준치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일자가 표시되지 않은 이 제품은 유통기한이 2024년 4월9일까지로 적혀 있으며 중국산 우엉을 가공해서 100g 단위로 포장돼 있다.
해당 제품에서 과다 검출된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은 가공식품 장기 보존을 위한 첨가물로 품목별로 기준치가 정해져 있다.
한식간장 등 간장류에는 1㎏당 0.25g이하, 식초는 1리터당 0.1g 이하, 과일류와 채소류는 표피부분에 한해 1㎏당 0.012g 이하만 사용이 가능하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경우 섭취를 중단하고 구매처에 반품해 달라”고 당부했다.
- 동아제약 '챔프시럽' 생산·판매·사용 중지… 진균, 기준치보다 많이 검출
- 위니아에이드, 현대렌탈케어과 공동사업 추진 '전략적 업무제휴'
- 콜롬비아산 아보카도 기준치 200배 잔류농약 검출… 판매 금지
- 롯데리아 매장서 콜라 안에 살아있는 '바퀴벌레', 영업정지 5일
- 식약처, 오뚜기 닭칼국수 등 유통 차단… 유전자변형 '돼지호박' 가공식품
- 동서식품, '맥심 모카골드' 회수… 식약처 "이물질 확인"
- 이마트·쿠팡서 많이 팔린 중국산 카스테라 판매 중지… 금지 방부제 검출
- 이마트24, '스즈메의 문단속' 인기에 신카이 마코토 인기소설 단독판매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