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 통합법인 출범 이후 매출 12조1000억원, 3배 이상 증가
'효자기업'으로 거듭… 글로벌 매출도 지난해 4배 가까이 급증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CJ대한통운이 2013년 CJ그룹 물류 통합법인으로 새 출발한 지 올해로 10년을 맞은 가운데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며 업계의 관심을 끈다.
1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CJ그룹 통합법인 출범 이후 매출은 2013년 3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12조1000억원으로 3배 이상이 뛰었고, 영업이익은 641억원에서 4118억원으로 6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J대한통운은 2008년 대한통운 시절 법정관리 상황에서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됐다가 2011년 말 CJ그룹으로 대주주가 바뀌었다. 2013년 4월에는 CJ그룹 내 물류 계열사인 GLS와 합병하며 그룹을 대표하는 통합물류기업이 됐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0년간 매해 최대실적 기록을 갈아치우며 그룹내 ‘효자기업’으로 거듭났다. 인수 초기부터 물류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그룹의 강한 의지가 작용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는다.
CJ대한통운은 그룹 차원의 지원 아래 중국, 미국,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지의 우량 물류기업들을 인수·합병(M&A)하며 몸집을 키웠다. 2013년 17개국 35곳에 불과했던 글로벌 거점은 현재 35개국 112곳으로 늘었다.
글로벌 매출도 1조705억원에서 지난해 5조612억원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글로벌 물류의 중심축인 미국에서의 매출이 987억원에서 1조2628억원으로 12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에 글로벌 부문 매출 비중도 28%에서 42%로 상승했다.
물류를 노동집약 산업에서 기술집약 산업으로 전환한 점도 주목할 만 하다. CJ대한통운은 로봇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첨단 기술을 물류에 접목해 국내 물류의 기술화를 견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통합 이후 10년간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기반을 구축했다”며 “2030년까지 글로벌 물류 메이저 플레이어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수출 7개월 연속 적자… 4월 무역수지 26.2억달러 '마이너스'
- 오늘부터 '깡통전세' 보증보험 가입 불가… 공시가 126%로 제한
- [내집마련 캘린더] 5월 가정의달 선물은, 빛나는 '청약꾸러미'
- 윤 대통령 '아메리칸 파이' 열창에 바이든 감격… 어떤 사연일까
- 구자열 무협 회장 미국에 반도체법·IRA 우려 전달… 바이든 입장은?
- 주변에는 다 쉬는데… 근로자의 날, 직장인 10명 중 3명 출근
- '빚더미' 앉았다던 가스공사… '연봉 30% 인상·성과급 파티'
- 영장심사 앞둔 민노총 건설노조 간부, 법원 앞서 분신… '의식 불명'
- 우크라 선수에게 전쟁나가라던 축구 해설가, 이번엔 손흥민 인종차별?
- 회사 돈 41억원 법카로 횡령 명품에 펑펑 쓴 경리, '징역 7년'
- 수상시 채용특전… CJ대한통운, '미래 기술 챌린지 2023' 개최
- 안전 경각심 제고… CJ대한통운, VR 안전 체험관 개관
- CJ대한통운·에버그린, 해상운송 활성화 위해 상호 협력 구축
- CGV 유상증자에 CJ 시총 4조 증발… 거세지는 주주 반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