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분업체에 가격인하 요청
라면·빵값 인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정부의 밀가루 가격 인하 요청에 제분업계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진은 대형마트에 진열된 밀가루. 사진=연합뉴스 제공
정부의 밀가루 가격 인하 요청에 제분업계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진은 대형마트에 진열된 밀가루.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의 밀가루 가격 인하 요청에 제분업계가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CJ제일제당, 대한제분 등 7개 제분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하락한 밀 수입 가격을 밀가루 가격 책정에 고려해 달라고 주문했다.

국제 밀 선물가격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지난해 5월 톤당 419달러까지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해 11월부터 이달까지 300달러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이달 밀 선물가격은 톤당 243달러로 지난해 5월의 58%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제분업계는 “선물가격과 수입가격의 시차, 부대비용과 환율상승 등 어려운 점이 있으나 밀 선물가격 하락과 물가 안정을 위해 다음 달 밀가루 출하가격 인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농식품부가 전했다.

다만 제분업계가 다음 달 밀가루 가격을 실제 인하할지는 미지수다. 인건비와 물류비 등의 인상이 지속되며 업계가 감당해야 할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농식품부는 지난 3월에도 제분업계와 만나 밀가루 가격 안정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제분업계는 당시 간담회에서 원료구매 자금 지원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라면업계도 선뜻 가격인하 선언을 하지 못하고 있다. 라면업계 관계자는 “밀가루 가격이 내려가면 가격 인하를 검토해볼 여력이 더 생길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전분 및 설탕 등 다른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에너지비가 다 올랐는데 밀가루 하나 내려갔다고 당장 가격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제빵업계 역시 비슷한 입장이다. 제빵업계 관계자는 “빵 가격 인하는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업계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해 정책에 반영할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국민들의 물가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와 제분업계가 밀가루 가격을 지속적으로 안정시키는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