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업계 가격인하 신호탄… 빵·과자값도 주목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농심, 삼양라면 등 라면업계가 제품값을 내리기로 하면서 제빵·제과업계로 가격 인하 바람이 확산할지 주목된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다음 달 1일부로 신라면 봉지면의 출고가를 4.5% 내린다. 소매점 기준 1000원에 판매되는 신라면 한 봉지의 가격은 50원 인하된다.
삼양식품 역시 같은날부터 삼양라면을 비롯한 12개 대표 제품의 가격을 평균 4.7% 내리기로 했다. 이들의 라면 가격 인하는 2010년 이후 13년 만이다.
현재 오뚜기와 팔도 등 다른 라면업체도 가격 조정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라면업체들의 가격 인하 이후 과자와 빵 등 다른 식품업계의 가격 인하 움직임도 주목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8일 국제 밀 가격이 내려간 것과 관련해 라면값을 인하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어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6일 제분업체들과의 간담회를 진행하며 밀가루 가격 인하를 추진했다.
이와 관련해 제분업계는 다음 달 밀가루 출하가격 인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분업계가 밀가루 가격을 인하하면 밀가루를 주원료로 쓰는 제빵·제과업계의 원가 부담도 줄어든다. 특히 농심이 주력 과자 제품인 새우깡 가격을 100원 내리기로 하면서 주요 제빵·제과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실제 13년 전인 2010년 당시 라면 가격 하락을 시작으로 제빵·제과 등 식품기업들이 줄줄이 가격을 하향 조정한 바 있다.
롯데제과는 당시 과자 7개 제품 가격을 4∼14% 내렸고 크라운해태 역시 참크래커와 아이비의 가격을 10∼12% 인하했다.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등 베이커리 브랜드도 빵값을 낮췄다.
다만 올 하반기 농가 생산비 상승으로 원유 가격 인상이 예정돼 변수가 될 수 있다. 올해 가격 인상은 원유 리터(ℓ)당 69~104원 범위에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해의 경우 원유 기본 가격이 ℓ당 49원 인상되자 흰 우유 제품 가격은 10% 안팎으로 올랐고 아이스크림 가격은 10∼20%대로 인상됐다.
일각에서는 원유값 상승에 따라 우유가 들어가는 빵, 과자 등의 가격도 오르는 게 아니냐고 우려했다.
이런 우려와 관련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빵류, 과자류 등의 원료 가운데 우유 비율이 각각 5%, 1% 수준인 만큼 원유 가격 인상이 가공식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 정부 압박에 제분사 "7월 밀가루값 인하 검토"… 라면·빵값은?
- '라면값 내려라' 정부 압박 하루만에… 업계 "가격인하 검토"
- 6월 요금인하 경쟁 점화… 이통사, 고객 이탈방지 위한 '승부수'
- "햄버거 먹기 겁나네"… 물가상승률 19년만에 최고
- 1000만명 몰래 보던 '누누티비', 정부 압박에 결국 서비스 종료
- 정부 압박에 '백기' SKT, 5G 중간요금제 5월 출시… LGU+, KT는?
- 사업차 멕시코 방문 한국인 30대 2명, 강도 총격받고 중태
- 정부 '물가압박' 통했다… 오뚜기도 다음 달 라면 15개 평균 5% 인하
- 삼양식품그룹, 11년만에 CI 바꾸나… 상표 출원
- 오늘부터 신라면 50원·새우깡 100원 가격 내린다
- 라면·과자·빵 내렸는데… 소비자단체 "아이스크림도 내려야"
- '발암물질' 논란 아스파탐, 음료·주류업계 직격… 대체 가능할까
- 전 세계 홀린 K라면… 올 상반기 수출액 4억달러 돌파
- 정부, 제분·사료 이어 유업체 만났다… "과도한 인상 자제"
- 먹태깡이 뭐길래… 중고마켓에서 2~3배 웃돈 거래까지
- 오뚜기, '옐로우즈 키친' 론칭 1주년… "맛있는 경험 선사"
- 파리바게뜨, 베이커리 26종에 녹색인증 포장재 적용
- 원유 리터당 88원 오른다… '밀크플레이션' 우려 현실화
- 오뚜기, '2023 식품안전과학 심포지엄' 성료
- 오뚜기 2분기 영업익 35.4% 증가… "라면·소스·간편식 판매 호조"
- 팔도, 권성균 부사장 대표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