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영향 DS부문서만 4조원대 영업손실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등 부진 지속돼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반도체업황 악화와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등으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반도체업황 악화와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등으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경기침체로 인한 반도체부문 매출 회복 지연과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등으로 고전을 이어갔다. 특히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에서만 4조원대 적자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7일 올 2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60조55억원, 영업이익 668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2.3% 줄었고, 영업이익은 무려 9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사 매출은 DS부문 회복에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스마트폰 출하 감소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 감소 추세에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효과가 줄면서 프리미엄 비중이 감소했다”며 “경기침체로 인해 중저가 시장 회복도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반도체부문에서는 파운드리와 시스템LSI 등에서 전방산업 수요 위축으로 동반 부진했다. DDR5와 HBM(High Bandwidth Memory) 중심으로 인공지능(AI)용 수요 강세 속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지만 적자는 피하지 못했고 영업손실은 4조3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영업이익의 경우 스마트폰 출하 감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도 DS부문 적자폭 축소와 디스플레이·TV·생활가전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직전 분기와 비교해선 소폭 오른 실적을 거뒀다. 실제 휴대폰과 가전 등 세트부문에서는 3조8300억원의 이익을 냈다.  

삼성전자는 생활가전부문에서도 계절적 성수기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한 매출 증가와 물류비 등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며, 미래성장을 위한 투자 기조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구개발비는 7조2000억원으로 지난 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14조5000억원 수준의 역대 최대치에 해당하는 시설투자도 이뤄졌다. 상반기 누계로는 25조3000억원이 집행됐고 DS부문 23조2000억원, 디스플레이 9000억원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전망에 대해선 거시경제 리스크 등 수요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글로벌 정보통신(IT) 수요와 업황이 점진적으로 회복돼 부품 사업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전사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사업별로 우선 DS부문은 ▲DDR5 ▲LPDDR5x ▲HBM3 등 고부가 제품 판매와 신규 수주를 확대하는 동시에 인프라 및 R&D, 패키징에 투자를 지속하고 GAA(Gate-All-Around) 공정 완성도 향상 등으로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디바이스경험(DX)부문에서도 ▲폴더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등 주요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하고 TV와 가전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는 등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