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지난 8일 식품·외식업계 간담회
"물가안정 취지 공감하나 압박 요인 많아"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확대된 가운데 정부가 식품·외식업체 관계자와 직접 만나는 등 적극적인 물가 단속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8일 한훈 차관 주재로 주요 식품업계 및 외식 프랜차이즈업계 대표들과 가공식품, 외식물가 상황을 업계 관계자들과 공유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간담회에서 정부의 물가 안정 노력에 부응해 기업들도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구체적으로 가격 부담 완화에 동참해줄 수 있는지 물었고 식품·외식업체들은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당분간 가격 인상을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의 물가 압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정부는 지난 6월부터 라면·제분·우유업계를 시작으로 식품업계에 가격 인상 자제 요청을 이어왔다. 이에 라면업체들이 일부 제품 가격을 내렸고 이후 제과·제빵업체와 식품업체들도 가격 인하 대열에 동참했다.

하지만 하반기에도 원부자재값 상승이 지속돼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엔 원유 가격이 인상되고 설탕 가격 역시 인상 조짐을 보인다. 물류비와 인건비 등 영업비용도 이미 올랐다.

식품·외식업계는 물가안정 기조에는 동참하지만 이미 가격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 쌓여 있어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물가 안정이라는 취지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 기업들이 얼마나 감내하고 지속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이미 원자재, 인건비 상승이 가파른 상황”이라며 “외식업의 경우 가맹점주들의 눈치를 봐야 해 어려움이 더하다”고 토로했다.

정부는 식품·외식업체들의 원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할당관세 품목을 확대하고 주요 식재료 수입처 다변화를 위한 검역 협상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간담회에는 식품·외식기업 22개 사가 참석했다. CJ제일제당, 오뚜기, 농심, 롯데웰푸드, SPC, 동원F&B, 오리온, 삼양, 해태제과, 풀무원, 동서식품, 매일유업 등 식품기업 12곳과 스타벅스, 롯데리아, 교촌에프엔비, bhc, 제너시스BBQ, 맘스터치, 피자알볼로, 걸작떡볶이, 투썸플레이스, 명륜진사갈비 10곳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