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이후 3년10개월 만에 총파업, 오는 18일까지 진행
'SRT통합·직무급제 도입 철회·4조 2교대 시행' 등 요구
정부, 지자체·관계기관 등과 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 운영 계획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철도노조가 오는 14일부터 4일간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12일 노동계에 따르면 철도노조는 오는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나흘간 총파업을 실시한다. 2019년 11월 총파업 이후 3년10개월 만이다. 철도노조는 KTX와 수서고속철도(SRT)의 통합, 성실교섭 및 합의 이행, 직무급제 도입 철회, 4조2교대 시행 등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철도노조는 지난달 24일부터 수서행 KTX 운행을 요구하며 준법투쟁을 벌였다. 에스알(SR)이 운영하는 SRT는 지난 1일부터 노선이 경전·전라·동해선으로 확대되고 경부선 주중 운행은 축소됐다.
철도노조는 수서역을 기반으로 하는 SRT와 서울역을 기반으로 하는 KTX의 분리 운영이 철도 민영화의 수순이라며 수서행 KTX 운행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80%만 전환된 4조2교대를 나머지 20%에도 적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철도노조는 지난 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국민 불편 초래 철도노조 파업 계획 철회 촉구’ 자료에 대해 “시민 불편을 초래한 건 국토부다. 진정 시민의 편리한 열차 이용을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바로 수서행 KTX를 운행해 열차 대란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노조가 정부의 철도정책을 이유로 파업을 계획했으며 철도정책에 대해 내놓는 주장은 일방적이므로 파업의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국토부의 주장에 유감을 표했다. 노조는 이번 1차 총파업에 돌입한 후 국토부와 철도공사 입장을 지켜보며 제2차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만약 빠른 2차 파업이 진행되면 추석 연휴동안 교통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즉시 비상 수송 준비 상황을 점검하는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최악의 상황을 우려해 발빠른 대응으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행보다.
국토부는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백원국 2차관 주재로 비상수송대책 점검회의를 열고 사회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인력과 교통 수단 확보, 비상 열차 운행 계획 등을 논의했다. 오는 13일부터는 주요 지자체와 관계 기관 등을 포함한 정부 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할 계획이다.
백원국 2차관은 “수서행 KTX 운행, 코레일·SR 통합 요구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반대)을 명분으로 하는 파업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정부의 파업 계획 철회 촉구에도 불구하고, 철도노조가 불법 파업을 강행하는 경우에는 타협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자수첩] 더 혁신적인 '부동산 대책' 필요하다
- 삼성·한화 목표달성 여부 가르는 13조원 카타르 LNG선 수주전
- [메타센서] 누가 더 버티나… 쌓이는 매물에 집주인·매수자 '눈치싸움'
- 중국 비료업체들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또 '요소수 대란' 오나
- [내집 마련 캘린더] 무주택자 꿈 실현시킬 '청약창고'
-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 특정제품서 "지독한 악취" 민원 속출… 보상받나
- 이재명, 단식 전날 오염수 규탄 집회뒤 횟집서 식사 논란
- 있으나마나 종부세… 부부 공동명의 은마아파트 '0원'
- 대우건설 컨소시엄, 사통팔달 교통 갖춘 '트리우스 광명' 10월 분양
- 호반그룹, '2023 비치 플로깅&아이스버킷 챌린지' 진행
- SK에코플랜트, 동남아서 '폐어망 재활용 사업' 추진
- GS건설, 자체 개발 앱 홈네트워크 AAA 등급 인증 취득
- 에어서울, 보라카이 '뭉쳐야 싸다' 프로모션 진행
- DL이앤씨 카본코, 인도네시아 CCS 밸류체인 구축 프로젝트 추진
- 에어부산, '일본 이색 여행지' 부산-도야마 노선 부정기편 운항
- 진에어, 국내·국제선 대상 '진심여행상점' 오픈
- 미국 맥도널드 시간당 최저임금 2만6000원으로 인상… 한국은?
- 클린스만 6경기 만에 첫승 따냈지만… 여전한 '원격근무·자질' 논란
- KT, ‘장기 경영 공백’ 부메랑… 146만명 통신요금 잘못 청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