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노조 의견 대폭 수용…영업익 10%를 성과급으로

SK하이닉스 팹.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팹. 사진=SK하이닉스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지난해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최대 영업이익을 올린 SK하이닉스가 직원들에게 ‘통 큰’ 성과급을 지급한다. 1인당 최대 1억원까지 예상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노사는 전날 ‘2025년 임금교섭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노조는 대의원회의를 통해 구성원에게 합의안에 대해 설명했다. 주요 내용은 해마다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성과급 금액을 산정하는 조항이다. 여기서 산정된 금액의 80%는 당해 지급하고,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지급한다.

사측은 노조가 주장한 의견을 받아들여 기존 성과급 지급 한도(최대 1000%)를 폐지했다. 이 기준은 앞으로 10년간 적용할 예정이다. 임금인상률은 6%로 잠정 합의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상반기 거둔 매출은 39조8711억원, 영업이익은 16조6534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증권가에서 전망하는 올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약 37조2000억원이다.

이번 잠정 합의안이 확정되면 올해 예상 영업이익의 10%를 기준으로 약 3조원의 성과급이 지급되고, 이후 2년간 7200억원이 추가로 직원에게 돌아간다. SK하이닉스의 임직원 수(지난 6월말 기준 3만3625명)로 단순 계산하면 1인당 총 1억원이 넘는 금액이다.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전 세계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는 가운데 임금을 둘러싼 내부 갈등을 최소화해 흔들리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앞서 SK하이닉스 노조는 지난 5월 말 ▲임금 8.25% 인상 ▲연봉 상한선 상향 ▲PS 배분율 상향과 상한 폐지 등 요구가 담긴 임금 교섭안을 제시하며 협상에 나섰다. 다만 최근까지 PS 상한 폐지를 놓고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노조는 조합원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열기도 했다.

노조는 이번 잠정 합의안을 토대로 2~3일 노조원 대상 설명 기간을 거친 후 노조원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노조원들이 찬성하면 노사 조인식을 합의안이 확정된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고생한 임직원에게 통 큰 보상을 결정하며 대형 갈등으로 비화할 뻔했던 노사 관계가 제자리를 찾았다”고 평가했다.

키워드
#SK하이닉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