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코스피가 9월 첫 거래일인 1일 장 초반 약세 흐름을 보였다. 중국 알리바바의 인공지능(AI) 칩 개발 소식이 전해지며 국내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매도세가 유입돼 지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모습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39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7.91포인트(0.56%) 내린 3168.10에 거래 중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43포인트(0.67%) 하락한 3164.58에 거래를 시작해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투자 주체별로는 개인은 1234억원을 순매수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0억원, 791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피 내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혼조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4.07%) 기아(1.04%), 현대차(0.91%), HD현대중공업(0.14%), LG에너지솔루션(0.14%) 등은 상승했고, SK하이닉스(-3.72%), 삼성전자(-2.30%), 삼성바이오로직스(-0.20%), KB금융(-0.18%) 등은 하락했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알리바바가 자체 새로운 AI 칩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AI 칩은 기존 칩보다 더 범용성이 높고 더 다양한 추론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주식시장 내에서는 엔비디아 등 AI주 향방이 관건”이라며 “알리바바의 자체 AI 칩 출시 예정 소식은 지난 1월 딥시크 사태처럼 미국 AI 업체들에 위협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생성되고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주말 미국 항소법원이 상호관세 위법 판결을 내렸고, 트럼프는 모든 관세가 유효하다고 반박하고 있다”며 “관세 위법 여부를 둘러싼 교통정리는 다음 달 14일 이후에 이뤄지는 만큼 시장참여자들은 기존의 관세 환경 유지를 베이스로 상정해 놓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같은 시간 코스닥은 전장 대비 2.26포인트(0.28%) 하락한 794.65을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1.61포인트(0.67%) 내린 795.30으로 개장했다.
투자주체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46억원과 89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319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도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알테오젠(3.99%), HLB(2.65%), 에코프로비엠(0.41%), 레인보우로보틱스(0.18%) 등은 강세다. 펩트론(-2.10%), 리가켐바이오(-1.90%), 파마리서치(-1.62%), 에이엘비바이오(-1.20%) 등은 약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0.6원 내린 1389.5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 [특징주] 케이엔알시스템, 소형 서보밸브 국산화·양산 소식에 급등
- [특징주] 조선·기자재株, 대형 수주 기대·한미 협력 호재에 강세
- 한투운용, ACE ETF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모집
- [증시 주간 전망대] 韓美 경제지표·9월 FOMC에 대한 관망심리↑…코스피 3000~3300P
- 신한운용, ‘美 S&P500 인덱스 펀드’ 수탁고 2000억 돌파
-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 이해 돕는 투자정보 콘텐츠 공개
- [특징주] 카카오그룹, 김범수 징역 '15년' 구형에 약세
- [특징주] 이화전기·이트론, 정리매매 첫날 90%대 급락
- [특징주] 에이비온, 대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급락'
- 김남구 한국투자금융 회장, 올해도 신입사원 채용 강연자 나서
- 박스피에 IPO 시장도 찬바람 '쌩쌩’…“옥석가리기 중”
- 한국거래소, 'FIA Forum: Busan 2025' 개최..."韓파생시장 현안 공유"
- 거래소, 주식선물 16종목·주식옵션 4종목 추가 상장
- 공모펀드 판매잔고 사상 첫 300조원 돌파…올들어 30% 증가
- [메타센서] 美, 삼성·SK 中 반도체공장 장비반출 '제동'… 50조 투자 어쩌나
- 정부, GPU 1.5만장 확보 위해 내년 2조원 투입… '품귀' 변수될까?
- 더글라스 알렉산더 영국 국무상, LG AI연구원 방문
- 원/달러 환율 "위험선호 회복에 소폭 하락…1390원 초반 등락 전망"
- "1인당 1억?" SK하이닉스, 성과급 상한선 폐지로 역대급 받는다
- BYD, 신차 가격 일본보다 무려 천만원 낮췄다… 현대차 '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