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표 반려 당 결정에 한동훈도 일침 "민심 못 이긴다"
국힘 내부서도 "석고대죄해야"·"징계해야" 비판 잇따라
여야 모두 "당 지도부 대응이 더 큰 문제" 지적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박민영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의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 발언’ 후폭풍이 당내는 물론 여야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박 대변인의 사표를 반려하고 “자그마한 일”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사실상 경고 조치에만 그치면서 장애인 비하 문제에 대한 당의 인식 부족과 책임 회피라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해당 발언의 당사자인 김예지 의원은 “당이 약자와 동행하는 정당으로 바로 서길 바란다”며 지도부의 대응을 사실상 공개 비판했고 당 안팎에서 자성·징계 요구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1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박 대변인의 발언과 당의 경고 조치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 입장과 당 동료 입장의 적절성은 다르지만, 약자를 향한 이런 발언을 ‘경고’ 정도로 끝내는 것이 과연 온당한가”라며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
송언석 원내대표가 전날 해당 사안을 “자그마한 일”이라고 말한 데 대해서도 “갑작스런 질문에 당황해서 나온 표현이길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박 대변인으로부터 직접적인 사과도 받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과거에도 수많은 악플·비방에 시달렸지만, 직접 대응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시민들이 ‘가만있지 말라’는 제보를 보내왔다”며 허위사실 유포 등 혐의로 박 대변인을 경찰에 고소한 배경을 설명했다.

논란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방송에서 박 대변인이 김 의원을 지목해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이 너무 많다”, “눈이 불편한 것을 빼면 기득권”, “배려를 당연히 여긴다”고 말한 데서 시작됐다.
비하 표현과 편견이 섞인 발언이 알려지자 장동혁 대표는 구두 경고를 내렸고 박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과격한 표현에 사과한다”는 입장을 냈으나, 정작 김 의원에게 직접 사과하지 않아 논란은 더 커졌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지도부의 대응은 미흡하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한동훈 전 대표는 SBS 라디오에서 “민심을 이길 수 없고 결국 민심을 따르게 된다”며 “약자를 향한 혐오는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보수정당은 이를 가장 엄격하게 지켜온 전통이 있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의 사표 반려 결정과 송 원내대표의 ‘자그마한 일’ 발언을 직격한 것이다. 같은 당 배준영 의원 역시 “정말 잘못된 발언이며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정하 의원은 “단순 실수라고 정리될 문제가 아니다. 표현과 인식 모두 상식의 선을 벗어났다”며 “오히려 본인이 던진 사의를 지도부가 수용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양향자 최고위원도 “장애인 비하가 맞다면 징계해야 한다”며 지도부가 더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비판의 강도는 여야를 넘나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정의당 등에서도 일제히 “장애인 혐오 발언을 두둔하는 보수정당의 후진적 태도”라고 논평을 내고 “사표 반려는 비호나 다름없다”고 당 지도부의 책임을 언급했다.
특히 장애인·여성 차별 논란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당이 질책하기보다 축소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정치권 전반의 비판은 거세지고 있다. .
한편 이번 사태는 박 대변인의 발언 자체보다 즉각적인 조치를 회피하고 경고에 그친 지도부의 대응이 더 큰 문제로 번지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당 내부에서조차 “민심과 동떨어진 결정”이라는 성찰이 나오는 가운데 박 대변인의 발언 파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