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韓 토론 공세에 당 지도부 차원 제동
지방선거 앞둔 국힘, '친한계 부상' 위기감 고조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정성호 법무부 장관, 추미애·박범계·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을 상대로 ‘대장동 항소 포기’ 공개토론을 제안하고 나서자,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미묘한 긴장감과 견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한 전 대표의 등장으로 언론의 시선이 다시 그에게 쏠리자 내년 지방선거·재보궐을 앞두고 당내 주도권 구도와 맞물린 내부 경쟁심리가 노골적으로 표출되는 모양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YTN 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서 “공개토론을 하더라도 국민의힘의 책임 있는 지도부와 해야 맞다”며 한 전 대표의 독자적 움직임을 견제했다. 

이어 그는 “지도부도 아니고 현역 의원도 아닌 한 전 대표가 당을 대표해 토론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당이 정한 공식적 위치와 다르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응한다면 여야 지도부 간 토론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 문제를 단순한 ‘토론 제안’ 이상의 당내 갈등 요소로 규정했다. 그는 친한계(친한동훈계) 포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람을 끌어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기존의 잘못을 바로잡고 가느냐 못하느냐의 문제”라고 답했다. 

특히 당원 게시판 논란을 거론하며 “당심의 흐름은 분명하다. 당 게시판 논란은 반드시 들여다봐야 한다”며 “이걸 덮고 넘어가면 당 분열을 자초한다”고 경고했다.

또 그는 “한동훈 측 말대로 떳떳하다면 조사받고 수사받아 명예 회복하면 된다. 그렇지 않다면 그에 따른 책임을 지면 된다”며 “만약 지도부가 해당 부분을 짚지 않고 넘어간다면 제가 가장 먼저 비판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내 다수 지지층을 의식한 강경한 메시지로 한 전 대표를 향한 압박과 제동 의지가 동시에 드러난 셈이다. 나경원 지방선거 총괄기획단장도 한 전 대표 견제 흐름에 힘을 보탰다. 

나 의원은 YTN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필요하다면 한 전 대표도 지방선거에 나설 수 있느냐”는 질문에 “선거는 공정한 룰 속에서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뛸 수 있어야 한다”고 하면서도 당원 게시판 논란과 관련해 “진실 규명이 우선”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며서 “누구를 어디에 꽂아주는 선거는 절대 안 된다. 당원들의 선택을 받으려면 논란 정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론스타 소송 승소와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을 계기로 한 전 대표의 존재감이 다시 부각된 가운데 국민의힘 지도부와 주류 진영이 동시에 ‘한동훈 견제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 안팎에선 당 내에서 불거지는 ‘한동훈·유승민 포용론’이 향후 권력 지형을 뒤흔들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