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탈원전 정책을 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22일 원전 문제와 관련해 “이미 가동하고 있거나 건설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그냥 계속 지어서 가동 연한까지 사용하겠다”며 “신규로 새로 짓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문제가 있었다는게 야당의 주장이다. 이재명 정부의 원전 정책은 감(減)원전 정책”이라며 “현재 계획으로는 2084~2085년까지 원자력을 사용하게 된다. 그때까지는 원자력 비중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새롭게 원전을 지어서 가동하려면 10년 정도 걸린다. 10년 이내 원자력 발전 단가가 재생에너지 단가를 역전하게 된다는 관측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는 설계 중 중단된 것이다. 건설 중인 것에 포함되는지, 계획 단계에 포함되는지 경계선에 있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단 현 정부에서는 국민 공론을 거쳐 안하는 것으로 결정했는데 폐기라기보다는 현재로서는 멈춰있는 것”이라며 “상황은 변하는 것이고 국민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의 합리적인 판단을 존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이런 이 후보의 방향성을 직접 비판했다. 윤 후보는 지난 29일 경북 울진의 신한울 3·4호기 현장을 방문해 “이 후보의 감원전 정책은 아마 새로 조어한 모양”이라며 “왜 맨날 이렇게 입장이 바뀌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 후보가 과거에는 여러 차례에 걸쳐 탈원전만이 정답이라고 강조했다”며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파괴할때 이 후보는 어디에 있었나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공사 중단을 비판하며 원전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추가 재정투입 없이 건설사업을 즉시 재개할 수 있다”며 “2000개 중소업체 인력과 조직을 유지하고, 세계 최고의 원전 기술력을 재입증해 원전 수출 발판을 마련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신한울 3·4호기는 현 정부가 2017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외하며 건설을 전격 중단한 곳이다. 윤 후보가 공사를 재개하겠다는 것은 현 정부 탈원전 정책의 전면 폐기를 의미한다.
윤 후보는 “신한울 외에도 안전성이 확인된, 가동 중인 원전에 대해 계속 운전을 허용할 것”이라며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대로 유지할 계획이다. 원자력 수출 범정부 추진 조직도 구성해 원전 수출 추진 체계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김 총리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 마련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기자수첩] 탈원전 몽상에 빠진 정부, 해외 흐름을 보라
- "M&A 규모 두 배 늘었다" 새 먹거리 찾는 대기업, 투자 포인트는?
- 윤석열 지지율이 이재명 ‘정부 거리두기’에 미칠 영향은
- 겨울철 전력수급 우려… 기댈 곳은 원전뿐
- 원전 빠진 'K택소노미'… 녹색분류체계 논란 가열
- 한수원, 이집트 조단위 원전사업 수주 유력… 국내선 탈원전 논란
- EU "원전은 녹색산업" 명문화… 국가간 찬반 공방 가열
- 작년 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65조… 전년비 12.2% 증가
- 이재명 "설 이전 주택공급안 발표…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해야"
- 한울원전 5호기 발전 자동정지
- [메타센서] "원전은 주력 전원" 문재인, 임기 말 탈원전 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