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임직원, 피해자 A씨 집까지 찾아 '2차 가해' 논란
민주당 경북도당 "기본적 보호조치 전혀 이행하지 않아"
"성희롱 예방메뉴얼 개편 등 강력한 재발방지책 세워야"

포스코 포항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제공
포스코 포항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가 사내 성폭력 사건과 관련해 비난 여론이 확산하자 사과문을 내고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하지만 비난 여론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모습이다.

27일 MBC 등 복수 언론에 따르면 포스코는 20대 여직원 A씨가 직장 동료 4명을 성폭력 혐의 등으로 경찰에 고소했다. 파장이 커지자 포스코는 지난 23일 감학동 대표이사 부회장 명의로 사과문을 발표했다.

하지만 사과문 발표가 있기 직전 포항제철소 부소장과 그룹장 등 고위 관계자들이 피해자 집에 찾아가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A씨가 만남에 응하지 않으면서 이들과 직접적인 대면은 이뤄지지 않았다. 

A씨는 한 언론에 “회사 측이 회유하기 위해 자꾸 접근하는 것 같다. 압박감을 많이 느꼈고 너무 힘들다”고 했다. 포스코 임직원들이 사과를 이유로 피해자의 집에 찾아간 것으로 드러나는 등 ‘2차 가해’ 논란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도 이번 사건 관련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 조치 마련과 재발 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차 가해 등의 문제가 나오자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은 지난 26일 성명을 내고 “포스코는 성폭력 사건 관련 피해자와 적극적으로 연대해 미흡한 대처로 인한 피해자 불이익 조치와 2차 피해에 대한 강력한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이 발생할 경우 해당 기관은 피해자에 적극적인 보호 조치, 가해자와 분리 조치, 2차 피해 예방, 피해자에 대한 불이익 금지 등을 기본적으로 지켜야 하지만, 포스코는 보호조치를 전혀 시행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또 “포스코는 이달 초 상사의 심각한 성폭력 사건이 발생한 것을 인지한 이후에도 분리 조치를 시행하지 않았다”며 “사택 아래·위층에 피해자와 가해자를 그대로 거주하도록 방치한 것도 명백한 회사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 피해 신고 후 2차 피해로 부서를 이동시켰지만, 3개월 만에 다시 원래 부서로 복귀하도록 명령한 것도 불이익 조치에 해당한다”며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사안으로 포스코 최고 책임자인 최정우 회장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경북도당은 이와 함께 “용기를 낸 피해자가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수사기관에는 성인지감수성에 입각한 철저하고 공정한 수사를 통해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에 대해서는 강력한 처벌을 요구했다.

아울러 “고용노동부도 포스코에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강력하게 대처하라”며 “포스코는 부실한 직장 내 성희롱 예방 메뉴얼을 전면 개선하는 등 피해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전수 조사를 통한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