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부품(VS)사업본부, 2조원대 매출 돌파
TV시장 혹한기, BE사업본부 554억원 손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올해 3분기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낸 반면 글로벌 경기침체와 가전 수요 둔화에 따른 영업이익 하락은 막지 못했다.
LG전자는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1768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1% 25.1% 증가했다. 특히 매출의 경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인 지난 1분기(매출 20조 9690억원) 기록을 넘어섰다.
하지만 글로벌 가전시장 침체로 영업이익은 저조했다. 지표상으로는 올랐지만,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5968억원)에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관련 충당금(4800억원)이 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사실상 감소한 셈이다.
부문별로 생활·주방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매출은 7조473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를 비롯한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하면서 역대 최고 매출액을 달성했다.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을 중심으로 신가전,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의 인기가 실적을 이끌었다. 영업이익은 물류비 증가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감소한 2283억원을 기록했다.
전장부품(VS) 사업본부는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한 2조3454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다. 완성차업체의 생산 확대와 효과적인 공급망 관리로 2분기 연속 2조원대 매출을 돌파했다. 영업이익도 961억원으로 흑자를 거뒀다.
TV와 사운드바 등이 주력인 HE사업본부와 기업간거래(B2B)시장을 책임지는 비즈니스 솔루션(BS)은 부진했다. HE사업본부의 경우 올 3분기 매출 3조7121억원에 55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글로벌 TV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마케팅 비용은 오히려 증가하면서 손실이 발생했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2% 줄었다. BS사업본부는 매출 1조4292억원과 14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영업손실 이유는 원자재가격 상승, 물류비 증가 등이 겹친 탓이다.
LG전자 관계자는 “불확실성 극복을 위해 비용 절감을 통한 지속적인 원가구조 개선과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프리미엄 및 볼륨존 모델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성장모멘텀(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공급망 효율성을 제고해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 LG그룹 사업보고회 시작… 구광모의 '뉴 LG' 전략은?
- LG전자, 5회차 맞은 InsightX서 새로운 고객경험 고민
- 조주완 LG전자 사장 "고객 가슴 뛰게 하는 강력한 브랜드 만들자"
- 삼성 반도체 기술 중·미로 넘어간다…전·현직 직원 10명 기소
- 비키니 질주 오토바이 커플이 '창피·불쾌감' 유발?...경범죄로 검찰 송치
- ‘이재명 정치자금 의혹’ 김용, 구속기간 열흘 연장
- IBK기업은행, ‘발달장애인 특화 사업장 건립’에 1억원 기부
- 尹, ‘조상준 후임’ 국정원 기조실장에 김남우 前 차장검사 임명
- LG전자, 2022 에너지대전서 '에너지 효율성' 갖춘 신제품 선봬
- LG 씽큐 앱 혁신… "제품 배송현황 확인부터 연동까지 손 쉽게"
- '전장'으로 내달리는 LG전자, DX로 육성 가속화
- 한국GM 부평2공장, 60년 만에 문닫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