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4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 단행, 금리차 최대 1.0%p 확대
높은 경계감 유지… "북한리스크 현재화 가능성도 예의주시하겠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글로벌 금융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글로벌 금융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기조에 맞춰 지속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3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금일 새벽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며 네 차례 연속으로 자이언트 스탭 금리인상을 단행했다”고 말했다.

미국 연준은 이날 새벽 4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결정하면서 기준금리가 3.0~3.25%에서 3.75~4.00%로 높아졌다. 잇따른 금리인상에도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지속돼 불가피하게 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한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최대 1.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추 부총리는 “파월 의장은 앞으로 긴축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금리인상 중단은 시기상조이며 최종 금리수준 또한 당초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며 “미 연준의 긴축기조 완화 기대감 축소에 따라 간밤 국제금융시장은 미국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로 마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따라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앞으로 우리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며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며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 도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추 부총리는 오늘 새벽까지 국제금융시장 반응을 볼 때 아직까지는 북한의 도발이 국내 금융시장에 특별한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 같다고 판단했다. 그는 항상 잠재된 북한리스크의 현재화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관련 시장상황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