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70.5억원 등 자산총액 기준 특별회비 분담
상의 "특별회비, 목표액 물가 상승률 고려해 결정"
우태희 상근부회장 "필요 시 외부 감사도 받을 것"

대한상공회의소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을 위해 10대그룹에 특별회비 311억원을 걷는다. 사진=대한상의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한상공회의소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을 위해 10대그룹에 특별회비 311억원을 걷는다. 사진=대한상의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한상공회의소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을 위해 국내 10대 그룹으로부터 특별회비 311억원을 모금하기로 했다.

대한상의가 기업들로부터 모금한 특별회비는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비에 활용될 예정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등에 사용된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의는 최근 삼성 등 국내 10대 그룹에 자산총액 기준으로 분담 비율을 정해 특별회비 납부 금액을 제시했다. 앞서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올해 9월 의원총회를 열고 특별회비 납부 안건을 의결했다. 

특별회비 납부 금액은 자산총액 1위인 삼성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총수인 SK가 각각 70억5000만원을 부담한다. 

이어 ▲현대자동차 47억원 ▲LG 30억5000만원 ▲롯데 22억원 ▲포스코 17억5000만원 ▲한화 14억5000만원 ▲GS 14억원 ▲현대중공업 13억5000만원 ▲신세계 11억원을 각각 낸다.

대한상의 특별회의 모금은 삼성전자가 지난달 27일 부산엑스포 유치 활동으로 47억2300만원의 납부 내용을 공시하면서 알려졌다. 일각에선 경기침체 등 추가 경비 지출이 기업에 부담이 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다만 대한상의 측은 특별회의는 기업 자발적 참여로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와 관련 전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311억원은 목표 액수다. 과거 여수 엑스포 당시 기업들이 정부에 141억원을 기부한 사례를 근거로 물가 상승을 고려해 목표 액수를 정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농단 사태 때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기업에서 기부금을 걷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우 부회장은 “기부가 아닌 회비로 납부와 비용 처리 결과는 투명하게 관리하고, 필요하다면 외부 감사도 받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유치활동을 통해 신사업 기회와 공급망 확보 등 경영 측면의 이익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농단과 비교해 생각하는 것 같은데 당시엔 기업 이익이 없었지만, 엑스포 유치활동은 기업들이 사업기회 발굴, 희토류 등 공급망 확보 등 실익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모금 과정은 충분한 법적 검토를 거쳤으며, 상공회의소법 38조와 정관에 명시된 관련 절차를 따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 부회장은 “유치 활동이 종료되면 외부 감사를 받겠다”며 “대한상의 전통과 신뢰가 훼손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