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30일 환경부, 경기도와 5개 시(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이날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캠퍼스에서 열렸고 한화진 환경부 장관,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이재준 수원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정명근 화성시장, 정장선 평택시장, 이권재 오산시장,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최근 회사의 반도체 생산라인 증설에 따라 2030년쯤 사업장에 필요한 공업용수는 현재의 두 배 이상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와 관련 올해 9월 ‘신환경경영전략’을 내놓고 반도체 국내 사업장의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발표했다.
이에 맞춰 회사는 취수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공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왔다.
이번 협약으로 수원·용인·화성·오산시 공공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반도체 사업장에서 필요한 공업용수로 처리돼 기흥·화성·평택 사업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각 사업장에 공급된 방류수는 추가 공정을 통해 초순수로 만들어져 반도체 생산에 활용된다. 삼성전자가 공급받을 수 있는 용수의 양은 하루 약 47만4000톤, 연간 1억73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회사는 라인 증설로 필요한 공업용수의 경우 자연에서 추가 취수하지 않고,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재이용하면서 국가적인 물 부족 문제 해소에도 기여한다는 목표다.
삼성전자 이와 함께 반도체는 취수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노후 설비 교체 ▲제조공정 개선 ▲신기술 개발 등의 노력은 물론 용수 사용량 최적화와 취수량 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할 방침이다.
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대표이사 사장은 “초순수라는 깨끗한 물이 필요한 반도체산업에서 하수 재이용수를 사용한다는 것은 큰 패러다임의 변화”라며 “혁신적인 용수 재이용 기술을 개발해 정부·지자체와 수자원 보전에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일본서 통하는 삼성전자 5G 솔루션… NTT 도코모에 제품 공급 확대
- [메타센서] 이재용 회장 첫 정기인사에 쏠린 눈… 3040? 여성CEO?
- K반도체의 겨울나기… 글로벌 한파 대처 '가지각색'
- 삼성전자서비스, 제27회 '기술경진대회'… "우수인재 간 경합의 장"
- 삼성전자 'C랩 스타트업 데모데이' 성료… "다양한 사업기회 제공"
- '업무개시명령' 강수 둔 윤 대통령… 화물연대, 집행정지 가처분 대응
-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취약계층 창의 환경 조성 앞장
- 인디 게임에 진심인 네오위즈… 닌텐도 e숍 80% 할인 이벤트
- 삼성 23개 계열사. 올겨울 소외계층에 '500억원' 전달
- 아시아물위원회(AWC), 2025년까지 '전 세계 물관리' 이사기관 역할
- 수자원공사, '16기 K-water 대학생 서포터스' 활동 마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