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4일 오전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4일 오전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14일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혐의로 검찰에 출석하며 “문재인 전 대통령과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어떠한 삭제 지시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9시 50분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박 전 원장은 대기 중인 취재진에게 “원장으로서 직원들에게 무엇도 삭제하라고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첩보·정보를 수집해 분석한 뒤 대통령께 보고하고 안보실이나 통일부, 국방부 등을 지원하는 것이 국정원 본연의 임무”라며 “정책 결정 부서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고 이대준 씨가 ‘자진 월북’을 했다고 단정한 것이 성급하지 않았냐는 질문에는 “애국심과 헌신을 가지고 일하는 국정원 직원들의 자세를 존경하고 신뢰한다”며 “분석관의 분석도 절대적으로 신뢰하며, 국정원 직원들이 업무를 제대로 했다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보안은 전 세계 정보기관의 제1 업무”라고도 강조했다.

서해 피격 사건이 발생한 후 국정원은 서 전 실장에게 ‘해당 사실이 국민에게 공개되면 남북관계가 경색되고,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는 취지의 보고서를 작성해 보고했다. 

해당 보고서가 적절했는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의에 박 전 원장은 “그러한 것을 얘기하는 것은 국정원법 위반”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검찰에서 성실히 답변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박 전 원장은 검찰이 정치적 수사를 하고 있다고도 비판했다.

박 전 원장은 “오늘 저를 조사함으로써 개혁된 국정원을 더는 정치의 장으로 끌어들이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며 “저는 국정원을 개혁하러 왔지 삭제하러 온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검찰과 감사원을 향해서 “병폐가 가장 피부로 느껴지는 곳”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박 전 원장은 2020년 9월 22일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 씨가 서해상에서 북한군에게 피살된 후 이 사실을 은폐할 목적으로 관련 첩보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한 혐의(국가정보원법상 직권남용 등)로 올해 7월 국정원으로부터 고발당했다.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씨 피격 다음 날인 9월 23일 새벽 1시 관계 장관회의가 열린 뒤 첩보 보고서 등 46건의 자료를 무단 삭제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