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 전문가들, 12월 CPI 6.5%로 전망
파산 위험 BBBY, 3거래일 연속 두자릿수 급등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8.91포인트(0.80%) 오른 3만3973.01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0.36포인트(1.28%) 상승한 3969.61로, 나스닥종합지수는 189.04포인트(1.76%) 뛴 1만931.67로 마감했다. 사진=뉴욕증권거래소(NYSE)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8.91포인트(0.80%) 오른 3만3973.01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0.36포인트(1.28%) 상승한 3969.61로, 나스닥종합지수는 189.04포인트(1.76%) 뛴 1만931.67로 마감했다. 사진=뉴욕증권거래소(NYSE)

[서울와이어 유호석 기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12월 물가가 떨어졌을 것이라는 기대가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8.91포인트(0.80%) 오른 3만3973.01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0.36포인트(1.28%) 상승한 3969.61로, 나스닥종합지수는 189.04포인트(1.76%) 뛴 1만931.67로 마감했다.

12일 발표될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가 전월 대비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월가 전문가들은 12월 CPI가 전년 대비 6.5%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11월 CPI는 7.1%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CPI는 여러모로 중요하다. 예상대로 전월대비 수치가 떨어진 것으로 나온다면, 인플레이션(화폐가치가 하락해 물가가 전반적·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진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오는 31일부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진행할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가장 크게 참고하는 데이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수준을 단언하기는 어렵다. 현 시점에서는 0.25%포인트 인상이 유력하나, 0.50%포인트 인상의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종목별로 아마존(5.81%), 알파벳C(3.38%), 알파벳A(3.51%), 마이크로소프트(3.02%), 애플(2.11%), AMD(1.48%), 인텔(1.39%), 앰코테크놀로지(1.31%), 버크셔 해서웨이B(1.27%), 퀄컴(1.27%), 엔비디아(0.58%) 등이 줄줄이 올랐다.

최근 한동안 부진했던 종목들이 돌연 강세다. 밈 주식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BBBY)가 이날 68.60% 폭등했다. 이 회사는 파산 가능성에 지난 6일 1.31달러까지 떨어졌다. 이후 최근 3거래일 연속 두자릿수 급등세를 나타내며 이날 종가 기준 3.49달러까지 올라선 상황이다.

다른 밈 주식 AMC엔터테인먼트 홀딩스(21.18%)와 게임스탑(7.21%)도 강세를 보였다. 이들 모두 주가에 영향을 끼칠 특별한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이외에 위워크(24.29%)도 전날에 이어 두자릿수 급등세를 기록했다.

쿠팡(-4.85%), 넷플릭스(-0.09%), 메타(-0.08%) 등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루시드 그룹(10.29%), 리비안(3.83%), 테슬라(3.68%) 니콜라 코퍼레이션(0.42%) 등 주요 전기차주도 오름세를 보였다.

한편 이날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일 대비 2.29달러(3.05%) 오른 배럴당 77.4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