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트렌드 "현실적이면서 친근한 혁신가이자 비저너리"
정 회장 "더 진화된 차량 개발로 전동화 체제 전환 지속"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올해 글로벌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됐다.
자동차전문지 모터트렌드(MotorTrend)는 정 회장이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 2023)’로 선정됐다고 12일 발표했다. 모터트렌드는 이날 ‘2023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 50인을 공개하고 정 회장이 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모터트렌드는 매년 글로벌 자동차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50인의 파워리스트를 발표하고, 그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1인을 ‘올해의 인물’로 선정한다. 모터트렌드 파워리스트는 모터트렌드 에디터들과 자문위원들의 평가와 비공개 투표로 순위가 결정된다.
모터트렌드는 “정 회장은 세계와 산업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통찰과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열정을 갖고 전기차와 미래 모빌리티분야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본질적 사명은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과 평화로운 삶’이라는 모두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모터트렌드는 ‘현실적이면서도 친근한 혁신가이자 비저너리’라는 정 회장에 대한 주변의 평가도 전했다. “정의선 회장은 현대차그룹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렸다”며 “정 회장과 그의 비전, 위대한기업이 되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과 관련해서는 “정의선 회장이 그리는 큰 그림은 데이터, 기술·소프트웨어 공학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모빌리티 솔루션을 아우르는 스마트시티까지 망라돼 있다”고 소개했다.
모터트렌드는 정 회장의 차별화된 전동화전략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였다. 현대차는 다양한 모델과 스타일, 가격대를 갖춘 멋진 전기차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을 활성화시켰다는 평가다.
모터트렌드는 이어 “현대차그룹은 2025년에 E-GMP의 성공을 이어갈 새로운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전기차·배터리 생산시설을 설립해 더욱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면서 주행거리 확대,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전고체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배터리 개발 협력에도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임직원들에게 “내연기관차 시대에는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였지만, 전기차 시대에는 경쟁업체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성능과 가치로 전세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무버(First Mover)가 돼야 한다”고 역설해 왔다.
모터트렌드는 현대차그룹 제품들에 대해서도 극찬했다. “현대차, 제네시스, 기아는 계속해서 장외 홈런을 날리고 있다”며 “현대차그룹의 차량들은 눈길을 사로잡는 디자인, 품질,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경쟁자들이 맞서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제네시스 G90와 현대차 아이오닉5는 모터트렌드의 ‘2023 올해의 차’와 ‘2023 올해의 SUV’를 각각 수상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아이오닉5와 EV6가 각각 ‘2022 세계올해의 차’와 ‘2022 유럽올해의 차’로 선정됐다. EV6가 11일(현지시간) 유틸리티 부문 ‘2023 북미올해의 차’에 선정되면서 현대차·기아의 전기차가 최고 권위의 글로벌 3대 올해의 차를 모두 석권했다.
제네시스는 미국 시장조사업체 JD파워의 2022년 내구품질조사와 신차품질조사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정 회장은 올해 새해 메시지에서도 “더욱 진화된 차량을 개발하고 공급해 글로벌 전기차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전동화 체제 전환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1949년 미국에서 창간된 모터트렌드는 자동차분야 최고 유력매체로, 매월 100만부 이상 발행되고 있다.
- 美 '굿 디지인 어워드'… 현대차·기아·제네시스 제품 총 11개 우수디자인에 선정
- 벤츠가 이럴수가… 핸들 안 잡아도 경고기능 깜깜 '과징금 72억'
- 지주사 전환 대기업 집단 총 15곳으로 확대
- 현대차, 모베드 NFT·토끼 캐릭터 B.B 래빗의 만남… 이색 전시회 마련
- 대기업 사외이사 2명 중 1명은 겸직… 연 평균 수령금액만 1억
- 코스피, 외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2350선 회복
- CES 2023의 주역, 한국기업들… 어떤 신기술로 세계 홀리나
- 현대차그룹 계열사 노조 "전 직원 400만원 달라"… 정의선의 선택은?
- 전 세계, 신차 10대 중 1대가 전기차… 중국·유럽 성장세 뚜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