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해제 이후 급격히 유행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
오는 17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안 논의 계획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이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가 곧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사진=연합뉴스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이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가 곧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 시대가 도래하면서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16일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이번 겨울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을 지나 이제는 안정된 상황으로 진입했다”며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가 멀지 않았다. 의무를 해제한다고 해서 급격하게 유행이 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달 눈에 띄게 코로나19 유행 추세가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1주일간 확진자 수는 30만명으로 2주 전(41만명)보다 27% 감소했다. 주간 사망자는 400명에서 356명으로 11% 줄었고 신규 위중증 환자도 530명에서 440명으로 17% 감소했다.

정 단장은 “위험 요소 중 국내 요인은 거의 없다고 본다. 앞으로 200만~300만명이 더 걸리면 이번 유행이 끝날 것”이라며 “설 전이든 설 이후든 이미 마스크 착용 해제 시기는 거의 다 왔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인해 사회가 갑자기 해이해지는 일은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다만 지금보다는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어 고위험군이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위험군에 속하는 고령층, 특히 60대 초반과 면역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이용자 및 종사자, 만성질환 보유자들은 한시라도 빨리 개량 백신을 접종해 면역력을 갖추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는 오는 17일 제12차 회의를 열고 중국 코로나19 동향 등 관리 현황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르면 설 연휴 전인 18일 또는 20일 조정 여부와 시기가 나와 설 연휴 이후부터 1단계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 “지표들과 해외 상황, 전문가 의견들을 검토하겠다”며 “설 연휴 유행 확산 전망 하나만으로 전환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상황을 포함해 전체 동향을 함께 살피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