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영업익 모두 역대 최대치, 이전 기록 경신
배터리부문 적자는 지속… 수익성 개선 시급해
올해 공격적 행보 예고, 올해 캐펙스는 '10조원'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울산CLX)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울산CLX) 전경.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SK이노베이션이 7일 실적 컨퍼런스콜을 열고 "올해 캐펙스는 10조원 규모를 계획하고 있다"며 "세부적으로 배터리부문에 7조원, 경상과 전략투자에 3조원을 쓰겠다. 배터리·소재 등 이미 사업화된 그린 비즈니스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기침체, 대외 환경에 영향을 받아 국내 기업들이 투자 등에 섣불리 나서지 않는 가운데 회사는 공격적인 행보를 예고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연간, 4분기 실적이 자신감에 배경이 된 모양새다. 

실제 SK이노베이션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정제마진 개선에 힘입어 지난해만 매출액 78조569억원, 영업이익 3조9989억원 등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역대 최대 실적으로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1조2035억원, 2조2572억원 증가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석유사업, 변동성 높은 시황 활용한 고마진 제품의 해외 판매 확대로 이익을 창출했다"며 "유가 상승 및 정제마진 개선 등의 효과도 작용해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회사의 실적 전반은 석유부분이 이끌었으며, 윤활유사업에서도 1조712원 규모의 연간 최대 영업이익을 냈다. 또한 배터리와 소재사업의 외연 확대까지 더해지면서 회사는 실적 축포를 터트릴 수 있었다. 

각 부문별 실적은 석유사업의 경우 매출 52조5817억원 영업이익 3조3911억원을 올리며 회사를 지탱했다. 화학부문 매출 11조269억원, 영업이익 1271억원을 기록했다. 윤활유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조9815억원, 1조7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석유개발부문 (매출 1조5264억원, 영업이익 6415억원) ▲배터리부문(매출 7조6177억원, 영업손실 9912억원) ▲소재부문(매출 2351억원, 영업손실 480억원)을 각각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는 유가 변동성으로 인한 재고 관련 손실 증가로 부진한 실적을 거뒀음에도 전통사업이 선전하면서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19조1367억원, 영업손실은 683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조4150억원 늘었으며, 영업손실도 6210억원 확대됐다.

회사의 실적 성장세가 이어진 가운데도 배터리사업에 흑자 달성은 뒤로 밀어졌다. 다만 회사는 관련 부문 수익성 확보와 생산성 강화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올해 경기침체 우려와 중국의 리오프닝 기대감이 혼재되면서 변동성이 매우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배터리사업의 경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관련해 세부 시행규칙이 발표되면 올해부터 2025년까지 최대 약 4조원의 수혜를 받게 될 것"이라며 "해외 신규공장의 램프업(생산량 증대)으로 가파른 매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이와 함께 그린 포트폴리오 전환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은 지난 6일 사내 보도채널을 통해 올해 전 구성원들에게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력 강화를 주문한 바 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도 “친환경 에너지&소재 회사 도약과 전기 중심 사회로의 전환(Electrification)을 위한 청정 에너지 생산과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 및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