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서울대가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로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징계 절차에 착수한다.
서울대 측은 7일 “법원의 1심 판결에 따라 그동안 미뤄둔 징계 절차를 재개할 것”이라며 “판결문 검토 후 교원징계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전 장관에 대한 징계 논의 착수는 각종 비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지 약 3년 만으로, 딸 조민의 장학금 수수와 사모펀드 운용현황보고서 증거위조 교사, PC 하드디스크 증거은닉교사 등이 다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장관은 2019년 12월 31일 뇌물수수 등 혐의로 불구속기소 됐고, 2020년 1월 29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직에서 직위 해제됐다.
서울대학교 교원 징계 규정에는 ‘교원이 법령을 위반하거나 그 밖에 교원으로서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경우 총장은 학내 교원징계위원회에 징계 의결을 요구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오세정 당시 서울대 총장은 검찰의 공소사실만으로 혐의 내용을 입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징계를 미루다가 지난해 7월에 징계 의결을 요청했다.
조 전 장관은 3일 진행된 1심 재판에서 자녀 입시 비리(업무방해 등), 딸 장학금 600만원 수수(청탁금지법 위반),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등을 유죄로 판단해 징역 2년을 선고했다.
서울대의 징계 절차 착수 움직임에 조 전 장관 측은 법원 확정판결이 나올 때까지 징계를 보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국 전 장관 변호인 측은 이날 서울대 측에 전달한 입장문을 통해 “징계위 회부 사유 가운데 딸 장학금 수수와 관련한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만 유죄가 인정됐다”며 “조 전 장관이 판결에 불복해 항소한 만큼 헌법이 보장한 무죄추정의 원칙을 존중해 최종 판단이 내려지기 전까지 징계 절차를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재명, 10일 2차 검찰 출석… 진술서 제출 후 묵비권 행사할 듯
- 카카오, SM엔터 동맹 강화… 지분 9.05% 확보, 2대 주주 등극
- "해외매출로 승부본다"… 국내 제약·바이오 '잰걸음'
- [신세철의 경제플러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엇박자'
- [보험 비교·설명 진통 ②] 상품정보 입력 기준 불명확… 현장 우려 커
- SK이노, 작년 고마진 제품 해외수출로 78조원대 매출 '잭팟'
- '대장동 의혹' 이재명, 오는 10일 검찰 재출석… "방어권 적극 행사"
- 산업계 뒤흔든 성과급·격려금 반발… 삼성전자 네이버서 현대위아까지
- [포토] 배우 정성일 "한국에 시에라를 처음 공개합니다"
- [메타센서] 정권교체 주역 윤석열-안철수, 돌아올 수 없는 강 건너나
- '깜깜이 관리비' 430만가구… 주인·세입자 10배 이상 차이
- HD현대, 유가 강세 속 정유사업 호조… 연간 매출 첫 '60조원' 돌파
- 기업은행, 작년 순이익 2조8000억원… 전년비 15%↑
- KB금융, 지난해 당기순익 4조4133억원… 사상 최대치
- [포토] 김성철, 깜찍한 하트 포즈
- 우리은행, ‘라임펀드 제재’ 행정소송 포기
-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법원, 한국정부 배상책임 첫 인정
- 문재인, 조국 저서 추천하며 "저자의 처지가 어떻든…"
- 조민, 父 책 행사 홍보… "노무현시민센터서 강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