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신호 수집·위치 파악할 수 있는 안테나 장착
미국, '중국 인민해방군' 연관 주장… 중국은 반발
미 국무부 " 중국 위협 해결하기 위한 노력 검토"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미국이 전세계 40개국 이상에 정보수집을 위해 보낸 정찰풍선의 주인이 중국군의 배후일 확률이 높다고 주장했다.
9일(현지시간) 미국 정부는 최근 대서양 상공에서 격추한 중국 대형 정찰풍선이 5대륙 40개국 이상을 비행했고 중국군과 연관된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포착됐던 중국 정찰풍선에 “통신 신호를 수집하고 지리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안테나가 장착됐다”고 설명했다.
국무부는 기구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이 여러 정보수집 센서를 작동시킬 전력 생산이 가능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해당 풍선을 만든 업체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확신하며 미 영공 침입을 지원한 기관에 대한 제제를 검토하겠다고 예고했다.
미국은 본토에 침투한 중국의 정찰풍선이 정보수집용으로 미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국제법을 위반했다며 지난 4일 대서양 상공에서 격추했다. 아직 정확한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은 단순한 민수용 비행선이라고 주장하며 강력히 반발하는 중이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미군 U-2 정찰기의 고해상 이미지에 따르면 침투한 풍선은 신호 정보 수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풍선의 장비는 분명히 정보 정찰용이었고 기상기구에 탑재되는 장비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중국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어 “우린 중국이 이 풍선을 정찰용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정찰 작전을 수행하려 개발된 중국 풍선 선단의 일부라는 것을 인지했다”며 “이런 활동은 중국군의 지시로 종종 수행된다. 우리 국가 안보와 동맹 및 파트너에 위협이 되는 중국의 대규모 정찰 활동을 드러내고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KT, 대표이사 공개 모집 공고… 20일까지 홈페이지 운영
- 러, 서방의 우크라 지원에 화들짝..."탱크 생산 수천대로 늘리겠다"
- 작년 국내서 달린 전기차 30만대 넘었다... 올해는 어떨까?
- 신사업 투자 늘리는 컴투스… 매출 신기록에도 적자전환
- 건설노조, 명예훼손 혐의로 원희룡 고소… "모욕감 느꼈다"
- [내집 마련 캘린더] 초콜릿만큼 달콤한 '청약 선물세트'
- 하나은행, 자카르타 한국국제학교에 장학금 전달
- 건설사 실적, 해외파-국내 집장사파 희비 엇갈렸다
- 캠코, 663억원 규모 압류재산 공매
- [포토] 검찰 출석하는 이재명 대표
- [포토] 검찰 출석 전 입장 밝히고 있는 이재명 대표
- [포토] 이재명 대표, 13일 만에 2차 소환
- 2차 출석 이재명 "'유검무죄 무검유죄' 검사 독재정권에 맞서겠다"
- [기자수첩] 1기신도시 향한 우려와 기대… 시작이 중요하다
- 여주대학교, 중중장애 극복한 우수성적 졸업자 표창
- 북미 하늘에 '미확인 물체' 잇따라 출몰… 캐나다도 격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