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입주율 66.6%, 전월 대비 5.1%p 떨어져
기존 주택 매각지연 미입주 사유 1위, 금리인상 영향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회복예상… "입주율 개선될 것"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에도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집주인이 늘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6.6%로 지난해 12월 대비 5.1%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7.8%에서 75.2%로, 5대 광역시는 71.9%에서 65.8%로, 기타 지역은 69.3%에서 63.9%로 떨어졌다.
서울은 80.2%에서 79.2%로 1.0%포인트 내렸고 인천·경기권은 76.6%에서 73.2%로 3.4%포인트 하락했다. 입주율은 조사 당월에 입주 지정 기간이 만료되는 분양단지의 분양 호수 중 입주했거나 잔금을 납부한 호수 비중을 의미한다.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5월 82.4%에서 6월 82.3%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11월 66.2%까지 하락했다. 정부의 규제완화로 12월 71.1%로 반등했다. 하지만 잇따른 금리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 등이 맞물리면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졌고 입주율이 다시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입주 사유 중 ‘기존 주택 매각 지연’(41.7%)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세입자 미확보’(39.6%)와 ‘잔금대출 미확보’(14.6%) 등이 뒤를 이었다. 주산연은 지난달 기준금리가 0.25% 인상되면서 대출비용이 증가했고 입주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현승 주산연 연구원은 “전매제한 기간 완화와 규제지역 해제, 청약 시 기존주택 처분 의무 폐지 등에 따라 주택거래가 용이해졌으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비용 부담이 증가했고 세입자 확보가 더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59.4에서 72.1로 12.7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 연구원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적극적인 규제 완화, 경기 회복 기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 대책 발표 등으로 입주율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홍준표 "곽상도 무죄?… 검사가 이러니 검수완박 말 나오지"
- 尹 “은행 고금리에 국민 고통 커… 금융위, 대책 마련하라”
- 당분간 '출근길 대란' 없다… 전장연, 지하철 시위 내달 23일까지 중단
- HUG, 지난달 대신 갚은 전세금 1692억원… 1년 만에 3배 급증
- 2월 초순 수출액 11.9%↑… 무역적자는 '지속'
- 윤 대통령 "산업현장 정상화 못하면 국민 세금 받을 자격 없다"
- [포토] 시민들 한숨 소리 가득… 서울시 4월 대중교통 가격인상 예고
- [포토] 월급 빼고 다 올랐다… 이번엔 서울시 대중교통 인상 예고
- [포토] 시민 부담 가중… 공공운수 요금 4월 인상 예고
- [포토] 전기·가스비에 이어 서울 지하철·버스 가격도 오른다
- 경찰, 민주노총 부산본부 건설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노조는 반발
- [날씨] 동해안 눈·비 내린다… 서울 아침 최저기온 영하 3도
- 검찰, ‘아들 50억 뇌물’ 곽상도 무죄 판결에 항소
- 에버랜드 요금 3월부터 인상… 4인 가족 기준 27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