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입주율 66.6%, 전월 대비 5.1%p 떨어져
기존 주택 매각지연 미입주 사유 1위, 금리인상 영향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회복예상… "입주율 개선될 것"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지난달 입주율이 하락했다. 사진=이태구 기자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지난달 입주율이 하락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에도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집주인이 늘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6.6%로 지난해 12월 대비 5.1%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7.8%에서 75.2%로, 5대 광역시는 71.9%에서 65.8%로, 기타 지역은 69.3%에서 63.9%로 떨어졌다.

서울은 80.2%에서 79.2%로 1.0%포인트 내렸고 인천·경기권은 76.6%에서 73.2%로 3.4%포인트 하락했다. 입주율은 조사 당월에 입주 지정 기간이 만료되는 분양단지의 분양 호수 중 입주했거나 잔금을 납부한 호수 비중을 의미한다.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5월 82.4%에서 6월 82.3%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11월 66.2%까지 하락했다. 정부의 규제완화로 12월 71.1%로 반등했다. 하지만 잇따른 금리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 등이 맞물리면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졌고 입주율이 다시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입주 사유 중 ‘기존 주택 매각 지연’(41.7%)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세입자 미확보’(39.6%)와 ‘잔금대출 미확보’(14.6%)  등이 뒤를 이었다. 주산연은 지난달 기준금리가 0.25% 인상되면서 대출비용이 증가했고 입주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현승 주산연 연구원은 “전매제한 기간 완화와 규제지역 해제, 청약 시 기존주택 처분 의무 폐지 등에 따라 주택거래가 용이해졌으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비용 부담이 증가했고 세입자 확보가 더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59.4에서 72.1로 12.7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 연구원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적극적인 규제 완화, 경기 회복 기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 대책 발표 등으로 입주율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