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정기 주총서 최종 결정
최대주주 국민연금 반대표 전망

윤경림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이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된 가운데 주총에서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제기돼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윤경림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이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된 가운데 주총에서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제기돼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윤경림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이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됐다. 남은 변수는 주주총회다. 마지막 관문인 주총에서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제기돼 귀추가 주목된다.

KT 이사회는 지난 7일 윤 사장을 최고경영자(CEO)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차기 대표 후보는 이달 말 열리는 주총에서 3년간 KT를 이끌 대표이사로 정식 임명된다.

윤 사장은 2006년부터 KT에서 일하며 신사업추진본부장, 미디어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2019년 현대자동차그룹 오픈이노베이션전략사업부장(부사장)으로 영입돼 미래 모빌리티사업을 맡다가 2021년 9월 구현모 현 대표의 요청으로 KT에 돌아왔다.

그는 구 대표가 제시한 ‘디지코(DIGICO·디지털플랫폼기업)’ 전략을 이어갈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이날 면접에서도 윤 사장은 KT 사업 구조를 디지털플랫폼 중심으로 전환해 기업 성장과 주주 이익 확대에 기여한 경영성과를 강조했다. 신사업부문의 성장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마지막 관문인 정기 주총 통과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윤 사장이 KT 대표로 확정되려면 주총에서 국민연금 등 주요 주주들의 찬성표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연금은 아직 새로 진행된 대표 후보 선정 과정에선 별 의견을 내지 않았으나 지난해 12월 KT 이사회의 구 대표 연임 결정을 공개적으로 반대한 것처럼 최종 선임 과정의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여당 의원들이 실명을 거론하면서 반대 의사를 내비치고 윤석열 대통령까지 공개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책임원칙)를 강조하고 나선 상황이다. 주총 문턱을 넘어 대표이사 인선이 이뤄지더라도 정부와 여당의 불만을 종식시키지 못하면 KT 안팎의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윤 사장은 최종 후보 확정 소감문에서 “KT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된 것에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최근 정부와 주주의 우려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주총 전까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맞춰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