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광고법 위반 관련 역대 두 번째 큰 규모, SKT 168억원 부과
실제 속도 0.8Gbps에 불과… "유리한 측정 등 거짓·과장성 인정"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5G 서비스의 속도를 25배까지 부풀려 광고한 이동통신 3사에 역대 두 번째 규모인 336억원의 과징금과 시정명령이 부과됐다.
2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SKT·KT·LGU+)가 5G 서비스의 속도를 거짓 과장하거나 기만적으로 광고한 행위, 자사의 5G 서비스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부당하게 비교광고한 행위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번 과징금은 2017년 아우디 폭스바겐 배출가스 부당 표시광고 사건(373억원 과징금) 이후 표시광고법과 관련한 역대 2번째 큰 규모다. SKT는 168억2900만원으로 가장 큰 과징금이 부과됐고 KT는 139억3100만원, LGU+는 28억5000만원을 각각 부과받았다.
표시광고법 위반 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율 상한은 관련 매출액의 2%다. 공정위는 부당 광고를 한 기간 중 이동통신 3사의 관련 매출액과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 사업자가 취득한 부당이득의 정도 등을 과징금 산정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최고속도 20Gbps”,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 “2GB 영화 한 편을 1초 만에 다운로드” 등의 광고 문구는 실제 속도가 0.8Gbps(’21년 3사 평균)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거짓·과장성이 인정되고 광고상 속도는 실제 사용환경과 상당히 다른 상황을 전제할 때만 도출되는 결과라는 사실을 은폐·누락했다고 판단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자사 직원이 측정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측정 결과를 근거로 다른 사업자의 속도와 비교했다는 점도 부당한 비교광고라고 봤다”며 “광고한 속도와 실제 구현 서비스 속도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을 기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 '전세 사기 무섭다'… 서울 비아파트 전세거래량 '역대 최저'
- 넷플릭스, 미국서 '계정 공유' 차단 예고… 한국도 조치 들어가나
- SK이노베이션, 이혼소송 노소영에 "아트센터 나비 나가라" 통보
- 전우원 "'전두환 비자금' 규모 수백억원에 달할 것… 조사 필요하다"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이번엔 미국이 발목?… "사실 아니다"
- 원희룡 "전세제도 없애는 방안은 검토 안해… 갭투자 확대 막아야"
- 한전·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7곳, 1년 만에 부채 70조 넘게 폭증
- [날씨] 아침은 봄, 낮은 초여름… 서울 낮 최고기온 '27도'
- [메타센서] 미추홀구서 전세사기 피해자 또 극단선택… 왜?
- 여의도, 맨해튼식 마천루로 개발… 350m 빌딩도 가능해진다
- 공정위, 보일러 성능 과장광고 귀뚜라미에 '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