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사용자 이름·장소 등 개인정보 '4만9884건' 유출
"담당자 실수로 발생… 직접적 책임 한전KDN에 있어"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이 올해 4월 고객에 이메일을 발송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약 5만건이 유출된 경위에 대해 “고객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잘못 연결해 해당 고객이 아닌 다른 고객 이메일 주소로 발송됐다”고 해명했다.
14일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올해 4월18일 고객에 이메일 발송 오류로 이름과 전기 사용 장소 등 2개 항목에서 4만9884건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이에 사내 전화와 온라인 접수 등으로 개인정보 유출 관련 고객 문의와 항의가 110여건 가량 잇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한전은 즉각 유출 문제에 사과하는 글을 홈페이지에 게시했으며 “명의도용이 아닌 담당자의 과실로 타인의 고객정보가 잘못 발송됐다”고 안내했다.
한전 감사실도 유출 건과 관련해 사고 경위 및 업무처리의 적정 여부 등을 확인하는 감사를 벌였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김 의원은 '고객정보와 관련한 엑셀 수작업 및 이메일 발송을 한전KDN이 했는데, 이번 유출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느냐'고 한전에 문의했다. 한전KDN은 한전의 자회사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한전으로부터 “직원 실수에서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직접적인 책임은 한전KDN에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 검찰,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 핵심측근 자택 압수수색
- 한화오션, HD현대중 제치고 '차기호위함 건조사업' 우선협상자 선정
-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 인하, 연말까지 지켜본 뒤 판단"
- 한덕수 총리 "장마철 '인명피해 제로' 최우선, 적극 대응해 달라"
- "포르쉐, 한판 붙자" 현대차 '달리는 제트기' 아이오닉 5N 공개
- 정부, '킬러규제' 개선작업 착수...기업 투자 활성화 유도
- "낚시성 설계안 안돼"… 서울시, 압구정3구역 설계공모 중단 명령
- 비위 '우수수'… 산업부, 한전공대 총장 해임 건의
- 오는 7~8일 전력 수요 최고조… 당국 '비상체제' 유지
정현호 기자
hs1042@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