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금융권 부동산 PF 연체율 2.42%, 지난해 말 대비 1.23%p↑
정부 "건전성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 낮다… 모니터링 계획"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한 부동산 자금 조달, 즉 ‘부동산PF’ 우려가 다시 심화되는 분위기다. 연체율이 늘어나면서 막대한 손실도 예상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는 최근 한 달 동안 PF위험 확대를 이유로 5개 기업의 신용도를 낮췄다. 해당 기간 전체 하향 조정 기업 12곳의 절반에 가깝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올 9월 말 기준 2.42%로 6월 말(2.17%) 대비 0.2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1.19%)보다 1.23%포인트 오른 수치다. 대출잔액은 134조3000억원으로 6월 말(133조1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 증가했다.
6월 말 17.28%까지 오른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은 9월 말 13.85%로 3.43%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2020년 말(3.37%), 2021년 말(3.71%), 지난해 말(10.3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우려가 커진다.
그간 대출 만기 연장 등으로 연명한 PF 사업장이 대거 부실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9월 기준 대출 만기 연장으로 버틴 브릿지론(사업 초기 토지 매입 및 인허가용 단기 차입금) 규모는 30조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최악의 경우 금융권에서 15조원 정도의 손실이 날 수 있다.
정부는 현재 부동산 PF 연체 문제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금융위는 “상호금융의 경우 일부 대규모 사업장 연체가 반영된 결과로, 상호금융업권의 자본과 충당금 적립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업권의 건전성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시장은 불안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건설경기가 또 다시 침체기에 빠져 전망도 밝지 않다. 3분기 기준 국내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의 미청구 공사비는 17조49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높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PF 사업여건 개선이 더딘 것은 사실”이라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면밀한 밀착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손실 흡수 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 [기자수첩] 사기 당하면 '나몰라라', 공인중개사 왜 존재하나
- CJ ENM 200억 투입 이선균 주연 영화 개봉 '만지작'
- 아파트 '실거주 의무 폐지' 정부 약속 불발… 시장 혼란 가중
- [날씨] 출근길 우산 '필수'… 포근한 날씨 속 전국 많은 비
- [CEO투데이] 주택시장에 '혁명' 일으킨 김헌동 SH공사 사장
- '윤핵관'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총선 불출마 공식 선언
- 폴란드 정권교체, K-방산 잭팟 무산 가능성
- 마침내 부동산 투자… 유재석 강남 논현동 땅 116억 현금 매입
- 미 상무부 "화웨이 스마트폰 큰 우려… 강력한 조치 취할 것"
- 공공주택 민간참여 확대·설계감리 권한 축소...LH 혁신방안 또 나왔다
- 비행기 타는데 왜 몸무게를… 아시아나, 안전운항 위한 측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