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금융권 부동산 PF 연체율 2.42%, 지난해 말 대비 1.23%p↑
정부 "건전성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 낮다… 모니터링 계획"

부동산 PF 연체율이 늘어나면서 막대한 손실이 예상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부동산 PF 연체율이 늘어나면서 막대한 손실이 예상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한 부동산 자금 조달, 즉 ‘부동산PF’ 우려가 다시 심화되는 분위기다. 연체율이 늘어나면서 막대한 손실도 예상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는 최근 한 달 동안 PF위험 확대를 이유로 5개 기업의 신용도를 낮췄다. 해당 기간 전체 하향 조정 기업 12곳의 절반에 가깝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올 9월 말 기준 2.42%로 6월 말(2.17%) 대비 0.2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1.19%)보다 1.23%포인트 오른 수치다. 대출잔액은 134조3000억원으로 6월 말(133조1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 증가했다.

6월 말 17.28%까지 오른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은 9월 말 13.85%로 3.43%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2020년 말(3.37%), 2021년 말(3.71%), 지난해 말(10.3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우려가 커진다.

그간 대출 만기 연장 등으로 연명한 PF 사업장이 대거 부실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9월 기준 대출 만기 연장으로 버틴 브릿지론(사업 초기 토지 매입 및 인허가용 단기 차입금) 규모는 30조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최악의 경우 금융권에서 15조원 정도의 손실이 날 수 있다.

정부는 현재 부동산 PF 연체 문제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금융위는 “상호금융의 경우 일부 대규모 사업장 연체가 반영된 결과로, 상호금융업권의 자본과 충당금 적립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업권의 건전성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노력에도 시장은 불안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건설경기가 또 다시 침체기에 빠져 전망도 밝지 않다. 3분기 기준 국내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의 미청구 공사비는 17조49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높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PF 사업여건 개선이 더딘 것은 사실”이라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면밀한 밀착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손실 흡수 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