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전략' 승부수, 판매량 부진 돌파 나서
새 버전 3만9990달러… 가격인하 실험 통할지 주목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미국 전기자업체 테슬라가 판매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핵심 모델인 ‘모델Y’의 저가형 버전을 새로 선보였다.
이는 최근 이어진 수요 둔화와 불매운동, 경쟁 심화 속 가격 인하를 통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테슬라는 7일(현지시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새 모델Y를 공개하며 “더 많은 고객에게 전기차 경험을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
새 버전의 가격은 3만9990달러로 기존 기본형(4만4990달러)보다 5000달러 저렴하다.
전기차 세액공제가 적용될 경우 실제 구매가는 3만달러대 초반까지 내려갈 수 있지만, 지난달 말 세제 혜택이 종료되면서 예상보다 큰 폭의 인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새 모델Y는 외관 디자인은 유지했지만, 인테리어를 단순화하고 일부 기능을 줄였다. 주행거리는 321마일(약 516㎞)로 이전보다 짧아졌으며, 뒷좌석 터치스크린과 고급 오디오 시스템이 제외됐다.
테슬라 측은 “소재와 구성 효율화를 통해 생산 단가를 낮췄다”며 “동시에 제조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가격 조정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하락을 방어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일론 머스크가 각종 정치적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뒤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매운동’이 확산되며 판매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테슬라의 올해 판매 성장률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신차 공개 전까지는 기대감이 컸지만, 막상 베일을 벗은 이후 시장 반응은 다소 냉담했다.
실제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공개 당일 4.45% 하락한 433.09달러에 마감했다.
에드먼즈(Edmunds)의 수석 분석가 아이번 드루리는 “투자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전기차를 기대했는데, 이번 모델은 기존 제품의 단순한 변형판에 불과하다”며 “단기적 판매 부진을 만회하기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전기차 세액공제를 포함하면 모델Y를 3만달러 이하로 낮추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다만 현실적인 원가와 세제 변화롤 비롯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에 따라 그의 약속은 당분간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 머스크, 700조원 자산가 등극…인류 최초 '조만장자' 도전?
- '내우외환' 현대차, 핵심 모델 국내 판매 급감… 왜?
- 국내 신차 40%는 친환경차…내연기관 대체 흐름 '뚜렷'
- 미국 교통당국, 테슬라 자율주행 사고 보고 지연·누락 여부 조사
- "일론 머스크 정당 창당 계획 철회" 언론 보도에 머스크 "사실 아니다"
- 추석 연휴 귀경 행렬… 서울방향 정체 오후 6시 '절정'
- 美 수입시장서 한국 10위 추락… 36년만에 '최저 순위'
- 韓, 내년 4월 WGBI 편입 확정… "시장 신뢰 한층 강화될 것"
- 이언주 "민생지원금이 물가 자극? 통계로도 안 맞는 정치공세"
- 민주당 "연휴 끝났으니 밥값할 때"… 국힘에 본회의 소집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