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민 서울대 사범대 교수 "지문의 설명, 이론과 안맞아"
국어 논란 벌써 두 번째… 17번 지문 '정답없음' 주장 나와
평가원, 심사를 거쳐 오는 25일 최종 정답을 발표할 계획

지문 오류와 복수 정답 주장이 제기된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지문 오류와 복수 정답 주장이 제기된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서울와이어=고정빈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이번엔 정답이 2개인 문항이 있다는 서울대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사범대 교수는 지난 2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해 수능 국어 출제 방식의 타당성을 문제 삼았다.

그는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1~3번 지문과 관련해 "단순견해 이론 설명이 잘못됐고, 3번 문항은 정답이 두 개"라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지문이 단순견해 이론의 핵심 요소인 언어 이해를 '말로 듣거나 글로 읽은 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으로 설명한 부분을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단순견해에서 언어 이해는 듣기 이해를 의미한다"며 "글 읽기 경험을 통해 언어 이해가 발달한다는 지문의 설명은 이론과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단순견해 이론은 해독과 언어 이해를 독립 요소로 보고, 읽기 이해 = 해독 × 언어 이해로 설명하는 모델이다. 미국·영미권 교육·언어학계에서 가장 널리 인용되는 독해 발달 이론 중 하나로, 연구에서는 언어 이해를 대부분 듣기 이해로 대체해 측정한다.

이 교수는 지문의 이론 설명 오류가 3번 문항의 선택지 판단에도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해당 문항은 학생 A·B의 읽기·듣기 특성을 제시한 뒤 '적절하지 않은 진술'을 고르는 방식이다.

그는 "학생 A는 해독은 가능하지만 듣기 이해가 떨어지는 유형이고, 학생 B는 듣기 이해는 가능하지만 해독이 안 되는 문해력 미취득자에 가깝다"며 "이론에 근거하면 3번 선택지와 4번 선택지는 모두 성립하지 않는 진술"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수능 국어 영역의 논란은 두 번째다. 이충형 포스텍 교수와 유명 국어 강사 이해황 씨 등은 17번 지문에 대해 '정답 없음'을 주장했다. 평가원은 지난 17일까지 이의 신청을 접수해 심사를 거쳐 오는 25일 최종 정답을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