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매매가격, 17주 만에 하락 전환
국민 10명 중 6명, 올 하반기 집값 하락 예상
반등 가능, "아파트값 결국 우상향 곡선이다"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잇따른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강화, 경기침체 우려 등에 전국 집값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특히 강남구 아파트 가격마저 불안한 모습을 나타내면서 올 하반기 집값 전망과 관련된 수요자들의 의견이 엇갈린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4일 기준)은 0.03% 하락했다. 서울은 지난주(-0.03%)와 동일한 하락폭을 기록하며 6주 연속 내림세가 지속됐다. 특히 강남권 아파트 가격(-0.01%)이 3월 첫째 주 이후 17주 만에 하락전환했다.
집값이 단기간에 하락하는 거래도 속출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현대아파트 6·7차’ 전용 157㎡는 지난달 55억원에 거래됐다. 올 5월 거래된 신고가(58억원)와 비교하면 한달 만에 3억원이 떨어졌다.
개포동에 공급된 ‘래미안블레스티지’ 전용 59㎡는 지난달 28일 21억4000만원에 팔렸다. 전월(22억8500만원)과 비교하면 한달 만에 1억4500만원 하락한 셈이다. 아울러 도곡동에 분양한 ‘타워팰리스’ 전용 164㎡도 지난달 29일, 동월 초(43억5000만원)보다 1억원 낮은 42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이처럼 강남불패도 꺾이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확산되면서 수요자들의 집값 전망은 하락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다.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6명은 올 하반기(7∼12월) 주택 매매가격 하락을 전망했다. 특히 서울(63.2%)과 경기(63.7%), 인천(61.0%) 등 수도권이 하락 전망이 60%를 넘었다.
다만 집값하락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서 한 누리꾼은 “집값이 앞으로 떨어질 확률이 높지만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내년부터는 상승조짐이 보일 수 있다”며 “여러 하방압력이 작용한 결과다. 집값은 항상 예측하기 힘들고 항상 우상향으로 끝났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지금은 조정시기로 현 상황이 끝나면 결국 집값은 오를 것”이라며 “곳곳 지역에서는 다시 상승조짐을 보이는 곳도 많다. 완전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 한 총리 "의무격리 7일 유지… 거리두기 의무화는 미시행"
- 6월 취업자 수 84만1000명↑…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
- 다시 검토해달라… 현대해상, 배타적사용권 이의신청
- 호텔 같은 오피스텔, 오피스텔 같은 오피스… '퓨전 부동산' 바람 솔솔
- 고금리 공포에… 오피스·상가 부동산 거래도 '주춤'
- 인력난 시달리는 조선업계… 한국 경쟁력, 이대로 좌초하나
- 서울시, 7월 재산세 2조4374억원 부과… '주택 세금부담' 완화
- 외신이 쏜 '휴젤 자진상폐' 소식에 주가 한때 20% 가까이 급등
- 아파트 매물이 쌓인다… 1년 만에 62% '급증'
- 박지원 “文 전 대통령, 어떤 지시도 없었다”
- 박홍근 “법사위·예결위 개선 최적기… 與, 양보안 내놔야”
- 신한카드, 자동차정비 중개서비스 '알카고' 본격 가동
- 남양주왕숙·고양창릉 등 3기신도시 4800가구 사전청약 시작
- 아파트 분양권 거래 '역대 최저'… 짙어진 집값하락 영향
- [메타센서] 해외수주까지 감소… 악재 늪 빠진 건설사 생존전략은?
- 서울 집값 7주 연속 '뚝'… 강남 이어 용산도 꺾였다
- 직방, 삼성SDS 홈IoT 인수 완료… 스마트홈 시장 진출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