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이상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 가장 높아
6월 소비자심리지수 86.0, 전월 대비 10.4p 하락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소비자들의 기대인플레이션율(향후 1년 예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개월 만에 0.8%포인트 오르며 4%대 후반까지 치솟았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달(3.9%)보다 0.8%포인트 오른 4.7%로 집계됐다.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전월 대비 상승 폭 모두 2008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최대 기록이다. 특히 상승 폭은 지난달(0.6%포인트)에 이어 두 달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응답 분포를 보면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가 6% 이상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비중(24.4%)이 가장 높았다. 이어 5~6% 상승(19.6%), 4~5% 상승(17.2%) 등이 뒤를 이었다.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 응답 비중을 보면 석유류 제품(68.0%), 공공요금(48.5%), 농축수산물(40.1%) 등 순이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6.0으로 전월 대비 10.4포인트 하락했다. 올 5월부터 3개월 연속 내림세로 2020년 9월(80.9) 이후 1년9개월 만에 90 아래로 내려왔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로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심리가 비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CPI)가 6%까지 유례없이 상승한 데서 주로 기인했다”며 “올 하반기에도 물가가 크게 낮아지지는 않을 거라는 판단이 작용해 기대인플레이션 비율이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 '금리인상·대출규제 여파' 수도권 아파트 청약 당첨자 미계약 급증
- 뚝뚝 떨어지는 성장률 전망... IMF, 한국 올해 2.3%로 하향
- 예비 신랑·신부 셀프 성관계 영상 올려 2억원… 돈 만능 시대의 '막장'
- 코로나 다시 대유행, 신규확진 10만 돌파...정부 30만명이상 대비책 총력
- 미 연준 내년 6월에야 금리인하로 돌아선다는데…증시는?
- 홍준표 시장이 중대재해법 처벌대상?… 정수장 사고로 처벌 가능성
- 원자잿값·환율 지속 상승하면… 대기업 영업이익 9.5% 감소 전망
- 고개 숙인 권성동 “제 부주의로 유출, 송구”
- 집단감염 의혹 싸이 '흠뻑쇼' 조사 나선 방대본...무슨 조치?
- 우상호 “이준석 제거, 윤 대통령과 윤핵관 공동작품 확인”
- 7월 소비자물가 6.3% 급등, 외환위기 이후 최고...추석물가 비상
- 10월 요금인상 현실화되나… 가격·환율 급등에 가스공사 '5조 손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