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지회 "노조 참여 속 매각작업 투명하게 이뤄져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전국 금속노동조합 대우조선해양 지회가 27일 정부와 KDB산업은행이 회사 매각 사실을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금속노조는 이날 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우조선해양은 글로벌시장에서 국내 조선산업의 지위를 떠받치는 기둥 중 하나”라며 “정치인과 관료가 졸속으로 팔아 버려서는 안 되는 기업”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대로 된 정권이라면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을 왜 인수해야 하는지부터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당사자(노조)가 배제된 일방적인 매각이자 재벌에게 특혜를 주는 매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나섰을 때와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노조는 이와 관련 “대우조선해양 모든 구성원도 산은 체계를 벗어나고 싶어 하지만, 그 과정이 졸속이나 특혜로 이뤄져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 ‘헐값 매각’이라는 특혜시비가 나오자 이를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노조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인수 추진 당시엔 대규모 구조조정 우려와 헐값 매각을 이유로 현장실사를 막았다.
노조는 이번 인수 자체를 반대하진 않았다. 이들은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노동자들과 논의를 통해 조선업 발전 전망과 기자재업체 유지 방안을 내놓는 것이 먼저”라며 “앞으로 매각 절차는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수 우선협상권을 지닌 한화그룹 측에는 “조선산업을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기업이 조선소를 잘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부터 씻어야 한다”며 “왜 한화인지도 설명하지 않고 인수를 강행하니 특혜 매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노조는 “산은이 존재 이유에 맞게 매각 이후에도 재벌의 일탈을 방지하고 경영정상화에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한화도 대우조선해양 온전하고 건실하게 경영한다는 약속을 내놓고 하청 노동자를 상대로 제기된 손해배상·가압류를 모두 포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폭락장에도 주인 찾은 대우조선해양, 주가 변동성 확대… 추가 상승은 '글쎄'
- 대우조선 품은 한화, 조선판도 흔들까… 삼성·현대중그룹과 '진검승부'
- 강석훈 “대우조선, 한화그룹에 매각… 2조원 유증으로 경영권 확보”
- 21년 만에 팔리는 대우조선해양… "한화그룹이 품는다"
- [포토] 12조원 지원된 대우조선해양, 새주인은 한화
- '인터폴 적색수배' 권도형 "산책도 하고 쇼핑몰도 간다" 도주설 부인
- 영끌족 어쩌나… 은행 주담대 금리 상단 '7% 돌파'
- 내년 실내마스크 착용 해제 전망에… "실효성 있나" 의문
- 법무부 vs 국회, '검수완박' 정당성 놓고 헌재서 "격돌"
- 한화가 품은 대우조선해양, 경영정상화까지 '첩첩산중'
- 대우조선 노조가 대주주?… 산은·한화에 "현 경영진 유임하라"
-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 자진사퇴?… "NO"
- 대우조선 노조, 새 주인 한화에 "고용승계·처우개선 약속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