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경찰서 김모 정보과장 소환 조사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핼러윈 기간 위험분석 보고서가 삭제된 의혹과 관련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핼러윈 기간 위험분석 보고서가 삭제된 의혹과 관련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핼러윈 기간 위험분석 보고서가 삭제된 의혹과 관련한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특수본은 15일 오후 2시 보고서가 삭제된 의혹과 관련해 전 용산경찰서 정보과장 김모(51) 경정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김모 경정은 대기 중인 취재진의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질의에 “조사과정에서 성실히 답하겠다”고 짧게 말한 뒤,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특수본은 이달 1일 출범 후 총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총 7명을 입건한 상태다. 피의자 소환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 경정은 사망한 전 정보계장 정모(55) 경감과 함께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증거인멸·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이달 7일 입건됐다.

김 경정은 같은 경찰서 소속 정보관이 이태원 참사 사흘 전 작성한 ‘이태원 핼러윈 축제 공공안녕 위험분석’을 참사가 발생한 후, 뒤 다른 직원을 시켜 PC에서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후 이런 내용의 보고서가 작성된 사실을 숨기기 위해 직원들을 회유한 혐의도 있다.

해당 보고서에는 ‘많은 인파로 인한 보행자들의 도로 난입, 교통 불편 신고, 교통사고 발생 우려’ 등의 문구가 포함돼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 삭제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박성민(55)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도 관련자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소환할 계획이다.

재난 안전 대응의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수본은 전날 행안부 안전대책 관련 직원을 불러 조사했고, 이날 오후에는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장을 참고인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특수본은 용산경찰서 112상황실과 용산구청,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소속 직원들도 불러 참고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이태원 보고서 삭제’ 의혹을 받다가 11일 숨진 정 경감에 대해서는 ‘공소권 없음’ 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