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북부지역 원전 4기 건설사업 협력 추진
내년 사업타당성 조사 MOU 후 사업 공식화될 듯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가 내년 튀르키예 정부와 현지 원전 4기 건설 프로젝트 추진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수출 계약으로 이어질 경우 수주 예상 금액만 약 4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중장기 경영 목표(2023~2027)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튀르키예 정부와 합의를 거쳐 현지 원전 건설사업 관련 공동 사업타당성 조사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한전은 내년 본격적인 협의에 나설 계획으로, 이르면 2024년 양국 정부 간 협정(IGA)을 통해 튀르키예 원전 사업이 구체화 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튀르키예 북부 지역에 1400메가와트(㎿) 규모의 한국형 원전(APR1400) 4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사업타당성 조사는 원전 착공 전 주변 환경이나 기술 여건, 경제성, 재원 조달방식 등 사업 전반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계약 성사 여부는 장담할 수 없지만, IGA가 맺어지면 사실상 우리나라가 우선협상자가 된다.
앞서 2009년 수출에 성공한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액(약 20조원)의 2배에 달하는 수출 성과를 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원전 1기 건설 사업비가 통상 8조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원화로 따졌을 때 수주금액만 약 32조원에 이른다.
업계는 올해 폴란드 퐁트누프로 원전 수출로 국산 APR1400 노형이 지닌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양국 협의는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폴란드와 체코 등에서도 한국형 원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2013년부터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2020년 미쓰비시가 건설 비용을 초기 예상액보다 2배 많은 액수를 제시하면서 판이 깨졌다. 한전은 일본과 협상이 깨진 틈을 노렸다.
한전과 튀르키예 정부 간 논의 결과에 따라 한국형 원전 수출에 물꼬가 트일 것이란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정부가 구상한 계획도 속력을 낼 수 있게 됐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2030년까지 해외 원전 수출 10기를 목표로 잡았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 지난 14일 경북 울진 신한울 원자력발전 1호기 준공 축사를 통해 “원전산업을 우리 수출을 이끌어 가는 버팀목으로 만들고,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원전 강국으로 위상을 다시금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 현대일렉트릭, 한전에 '2097억원' 분량 ESS 공급… 창사 이래 '최대 규모'
- 마침내 가동 신한울 1호기, 원자로 외벽 두께만 122cm… 폭발에도 견딘다
- 황주호 한수원 사장 "국내 원전산업 경쟁력 갖춰, 체코 원전 수주 자신"
- 정승일 한전 사장 "해외 원전사업 수주 적극적으로 나설 것"
- 尹 “탈원전으로 움츠렸던 원전 산업 재도약… 신한울 1호 새로운 시작”
- 쌓여가는 나랏빚… 공공부채 처음으로 1400조원 돌파
- 윤석열 대통령 장모, '요양급여 부정수급' 혐의 무죄 확정
- 우리금융 손태승, '금감원 DLF 중징계 취소' 최종 승소
- 신한은행, ‘골드바! 가져바~!’ 이벤트 시행
- KB국민은행, ‘온국민 건강적금’ 출시
- 우리금융, ‘우리WON카 THANK YOU 이벤트’ 실시
- KB금융, 8개 계열사 중 7곳 대표 유임
- '한전부실' 정부책임 묻는다… 감사원, 전기료 인상 의도적 묵살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