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태 기자
김익태 기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국내 빙과 시장점유율 1~2위인 빙그레와 롯데제과가 나란히 가격인상에 돌입한다. 인상 이유는 늘 그렇듯 원재료가 상승이다.

두 회사 모두 지난해 제조원가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인상했는데 1년이 채 되지 않아 또다시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낸 것이다. 

롯데제과는 27일 빙과 제품의 가격을 2월1일부터 5~20%가량 인상을 예고했다. 빙그레는 이틀 앞서 지난 25일 메로나, 비비빅을 비롯한 주요 바 아이스크림 제품 7종과 슈퍼콘 등 콘 아이스크림 제품 2종의 가격을 다음 달부터 평균 20%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원부자재 가격 인상으로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의문이다. 이날 빙그레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9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50.2% 증가한 규모다. 

이뿐 아니라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가격을 미리 인상해 제품값 인상에 대한 소비자 비판을 피하려는 꼼수를 쓰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성수기인 여름에 가격을 대폭 올리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질 게 분명하니 말이다.

소비자들은 “월급 빼고 다 오른다”고 한숨이 깊어지지만 대체로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매번 제조 단가를 확인하기도 어렵고 원재료 가격을 따져 볼 수도 없어 인상된 가격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일이 전부다.

업계에선 빙과류 시장점유율 1~2위 업체가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빙과업계 전체가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본다.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이 빙과업계의 연례 행사로 자리잡았다는 비아냥이 나올 만하다. 정말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면 납득이 가는 이유를 보여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