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개 이상 국내외 소부장 기업 등과 연계해 성장시킬 계획
용인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트 구축, 지방에도 14개 조성
국가산단 조성 위해 농지규제·그린벨트 최고 수준으로 완화
윤석열 "산단조성 신속하게 추진되도록 모든 노력 다하겠다"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수도권에 세계 최대 규모의 신규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트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15일 윤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30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수도권에 세계 최대 규모 신규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며 “기존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판교 팹리스 등과 연계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트를 세계 최대 규모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그는 첨단산업이 핵심 성장 엔진이자 안보 전략 자산이고 일자리 민생과 직결된다고 밝혔다. 최근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 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장되고 각국은 첨단산업 제조 시설을 자국 내 유치하고자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고 지방에도 14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해 반도체·미래차·우주 등 첨단산업을 육성하기로 결정했다. 용인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는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인 경기 기흥, 화성, 평택, 이천과 연결해 세계 최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신규 국가산단 조성을 위해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과 농지 규제는 최고 수준으로 완화한다. 용인에는 시스템반도체 중심으로 첨단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고 최대 150개 국내외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메모리 반도체와 올레드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에서 이미 세계적 수준의 기술과 생산 역량을 보유했다”며 “더 성장하기 위한 민간 투자를 정부가 확실히 지원하지 않으면 안 된다. 2026년까지 계획 중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 6대 분야에 대한 55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입지와 연구개발(R&D), 인력, 세제 지원 등을 빈틈없이 처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우주와 미래 차, 수소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 지방에도 3300만㎡, 총 1000만평 넘는 규모의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첨단산업 발전은 전체 경제성장과 직결되지만, 지역 균형발전과도 연결된다”며 “정부는 지역 스스로 비교우위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를 키우도록 토지 이용 규제를 풀고 국가 산단을 조성할 것이다. 오늘 발표된 산단 조성이 신속하게 추진되도록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예고했다.
- 거래소, 3년간 부정거래혐의 총 55건 적발
- [메타센서] 글로벌 수준 가덕신공항 5년 만에 '뚝딱' 가능할까
- 헤지펀드 황제 켄 그리핀, "SVB 예금자 구제는 자본주의 붕괴"
- 조원태 회장 작년 급여, 두배 오른 52억원… 다른 임직원 연봉은?
- 20일부터 대중교통서도 마스크 벗는다… 격리·의료기관만 남아
- 올해부터 석가탄신일·크리스마스 '대체공휴일' 적용된다
- [기자수첩] 답 못 찾은 '지방 미분양', 이러다 큰 코 다친다
- 일본, 반도체 3개 품목 수출규제 해제… 한국, WTO 제소 취하
- 윤 대통령 "징용배상 구상권 상정 안해… 문제 원점 되돌리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