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빈 기자
고정빈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꾸준히 지적돼온 미분양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수도권 미분양은 조금 줄어들었으나 지방은 해결되기는커녕 오히려 주인을 찾지 못한 물량이 늘었다. ‘미분양 늪’으로 불리는 대구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단기적인 미분양 물량은 어느정도 털어낼 수 있지만 오랜기간 물량이 쌓이면 악성 재고로 전락한다. 이런 미분양 아파트는 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수익성을 바라보고 건물을 지었던 건설사들에게 엄청난 타격을 준다.

입주민들이 들어오고 내집마련 비용을 내야 건설사들도 투자했던 비용을 어느정도 회수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건설사들은 골머리를 앓을 수밖에 없다.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미분양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아직까지도 개선된 점을 찾기 힘들다.

정부의 규제완화가 본격적용되는 이달부터 전국 곳곳에서는 물량 폭탄이 예고된 상태다. 다만 이미 미분양 물량이 넘쳐나는 지방에서는 우려만 커진다. 지금 쌓인 미분양 주택도 엄청난데 더 많은 물량이 들어오면 걷잡을 수 없는 위기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미분양 양극화 현상도 뚜렷해지는 분위기다. 수도권에는 대부분 대형 건설사들이 공급해 비교적으로 품질 좋은 아파트가 나온다. 물론 지방에서도 훌륭한 단지가 많지만 인구를 따져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된다.

물량을 소진할 인구가 많은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인구가 많지 않다. 최근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사람도 많아 앞으로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물량을 계속해서 늘리는 것은 분명히 좋은 현상이다. 다만 미분양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공급해야 한다. 이미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버렸고 악순환의 고리만 반복될 뿐이다. 지방에서 시작되는 미분양 공포는 결국 수도권으로 번질 수밖에 없다.

수도권까지 미분양 문제가 심화되면 주택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혼란에 빠질 것이다. 집값 변동과 공급 상황을 지켜보는 수요자들의 관망세는 더욱 짙어지고 건설사들은 서로 눈치보기 바쁜 사태가 도래할 수 있다. 지금 지방의 상황을 서울에 대입한다면 쉽게 대책을 마련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 문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건설사도 무분별한 공급보다는 주택이 부족한 지역을 살피고 내집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파트를 공급하길 바란다. 정부 차원에서도 노력이 필요하다. 천천히 해결하는 것도 좋지만 조금은 시기를 앞당기고 확실한 정책이 나와 미분양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