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발인원 10만2679명… 전년比 5.2% 증가
금액 기준 전체의 94.6% 손해보험서 발생
당국 "수사협의회 공조, 보험사기 방지 강화"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이 1조원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3일 금융감독원의 '2022년 보험사기 적발현황 및 향후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은 1조818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1384억원) 증가했다. 적발인원도 5.2% 오른 10만2679명으로 나타났다.
보험사기 유형별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668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허위사고 17.7%(1914억원), 고의사고 14.4%(1553억원)가 뒤를 이었다.
보험종목 별로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전체의 94.6%(1조237억원)을 차지했다. 허위(과다)입원 진단 장해 등 상해 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적발규모에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커졌다.
연령별로는 50대가 24%로 가장 많았다. 60대 이상 22.2%, 40대 19.4%, 30대 17.1%, 20대 이하 15.8%가 뒤를 이었다. 10대의 보험사기 적발 비중은 1.5%였다.
보험사기 적발자의 직업은 회사원(19.1%), 무직 일용직(11.1%), 전업주부(10.6%), 학생(4.9%)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설계사, 의료인, 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 종사자의 비중은 4.3%(4428명)로 전년과 비슷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 수사의뢰 효율성 제고 및 수사 활성화를 위해 수사당국과 수사협의회 등을 통해 공조를 강화할 예정"이라며 "아울러,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제도 및 업무관행 개선, 예방교육, 홍보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올해 바뀌는 보험제도 ①] 단체실손 중지 땐 보험료 환급 '꿀팁'
- '성과급 잔치' 벌였던 보험·카드사, 현금 배당만 3조원 달해
- 2차 공개매수 나선 오스템임플란트… 왜 상장폐지인가?
- 지난해 농협 등 상호금융 순익 3.1조원… 전년比 14%↑
- SK하이닉스 작년 직원 평균연봉 1억3300만원… 삼성전자는?
- 정의선·구광모 안부럽다… '스톡옵션'으로 재벌된 월급 사장들
- 최우식 국일제지 대표 셀프 선임 추진?… 재선임 되나
- 보험사 작년 실적 희비 엇갈려… 생보 '흐림' 손보 '맑음'
- 대상그룹 3세 임상민 전무, 부사장 승진 "미래 먹거리 발굴 성과"
- 보험사기 1조 돌파…50대 사기꾼 가장 많은 이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