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에 대한 첫 제재, 판매제한 등 규제 신호탄 될 듯

중국이 미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사이버안보 조사에 착수했다. 사실상 반도체 공급망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 미국을 견제하려는 조치란 분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중국이 미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사이버안보 조사에 착수했다. 사실상 반도체 공급망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 미국을 견제하려는 조치란 분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중국이 최근 가속화된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주도권 확보 움직임에 반격을 가했다. 현지 당국에서 미 최대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안보 조사에 착수하면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마이크론 규제는 미국 동맹국에 보내는 ‘경고’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지난달 31일 마이크론에 대한 사이버보안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CAC는 “핵심 데이터, 기초설비 및 서플라이체인의 안전과 잠재적인 사이버보안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간 중국이 뚜렷한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제제에 목적은 미국 견제를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 정부도 지난해 10월 자국 기업을 포함한 네덜란드·일본 등 반도체 장비 기업들의 대중국 첨단 제조 장비 수출을 제한해 중국 반도체 공급망에 타격을 가한 바 있다.

하지만 중국의 일격으로 현지에서 상당한 수익을 내는 마이크론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국 차원에 본격적인 대응이 나오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불안감도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 안팎에서는 해당 조치가 사실상 규제에 대한 전면 확대 신호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지 메모리반도체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아닉스 등의 사업 불확실성이 가중된 셈이다. 특히 최근 미 상무부가 발표한 반도체지원법 생산보조금 수령 규정에 중국 생산라인에서의 첨단 메모리반도체 생산 규모를 제한하는 내용이 담겼다.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1, 2위인 두 회사 입장에선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양상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당장 업계의 최대 관심사는 사이버보안 조사가 판매 제한 조치로 이어질지 여부다.

중국 당국이 미 기업을 겨냥해 안보 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조사 대상 규모가 확대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반도체 패권전쟁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 더 넓은 기업으로 제재 범위를 넓힐 가능성도 높다. 

한국도 이같은 안보 조사, 기업 제재 사정권에 들어간 상태로 긴장감이 최대치로 올라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 최근 미국과 중국의 대립을 예의 주시 중으로 최근 일련의 상황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보조금 신청 문제로 고민을 지속하는 기업들이 중국발 리스크로 혼란이 더 심화된 양상”이라며 “한국 기준에서 어느 곳 하나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만큼 두 나라를 자극하지 않고, 중립적 입장에서 현 상황을 풀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