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45주 연속 내림세, 수도권도 전주 대비 '낙폭 확대'
용인 처인구, 반도체 클러스터조성 기대로 상승세 유지
'한숲시티 5단지', 정부 발표 이후 집값 1억원 넘게 올라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올 2월 이후 둔화됐던 아파트 매매가격 낙폭이 8주 만에 다시 커지면서 집값 반등 기대감이 다소 떨어진 가운데 수도권 일부 지역만 상승세를 유지했다.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19%)보다 늘어난 0.22% 하락률을 기록했다. 서울(-0.13%)은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기록하면서 45주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수도권(-0.25%)도 전주(-0.19%)보다 소폭 확대됐다.
대부분 지역에서 낙폭이 확대된 가운데 중저가 주택이 몰린 지역과 대단지 위주로 집값이 하락한 곳이 많았다. 인천(-0.20%)은 전주(-0.18%)보다 하락폭이 확대됐고 경기(-0.24%→-0.33%)도 내림폭이 커졌다.
다만 용인 처인구는 지난주(0.43%)에 이어 이번주(0.29%)도 유일하게 상승세를 나타냈다. 해당 지역은 최근 ‘반세권’으로 불리며 수요자와 투자자들에게 큰 인기를 끄는 분위기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달 15일 처인구 남사읍과 이동읍 일대에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은 용인 클러스터 구축에 앞으로 20년 동안 총 30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최근 개발호재를 기대할 만한 호재가 없었는데 정부의 결정으로 큰 수혜를 볼 전망이다.
‘삼성효과’로 실거래가격도 올랐다. 대표적인 단지로 꼽히는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는 지난달 15일부터 총 45건의 매매거래가 신고됐다. 일부 집주인들은 매물로 내놓았던 거래를 취소하는 등 상황을 더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일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 5단지 전용면적 84㎡(8층)는 3억3500만원에 거래됐으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계획 발표 이후인 21일에는 같은 면적 25층이 1억원 넘게 뛴 4억60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다.
지난달 19일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 3단지 전용면적 84㎡는 4억3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올해 초 3억3000만원보다 1억원 오른 가격이다. 정부도 남사읍과 인근 이동읍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만큼 앞으로 처인구가 수요자들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력적인 탄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 경상수지 2개월 연속 적자 기록
- 뉴욕증시, 일제히 상승 '나스닥 0.76%↑'… WTI 80.70달러
-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병력 손실에 '생지옥' 바흐무트 철군 시사
- 러시아 2위 은행 VTB 대규모 손실로 '휘청'...서방 제재에 직격탄
- 위기 넘고 부는 훈풍… '정읍 푸르지오 더 퍼스트' 당첨자 계약 순항 전망
-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90% 이상 급감… '반도체 쇼크' 현실화
- 정명석의 가스라이팅 이정도였나… JMS 신도 "딸 성폭행 해줘서 감사"
- 에즈금융서비스, 맞춤 보험상품 추천하는 '보맵플래너' 정식오픈
- 경찰, '강남 납치·살인' 배후 의심 공범 구속영장 신청
- [내집 마련 캘린더] 분양 침체기 속 무주택자 위한 '희망의 열쇠'
- [메타센서] 오늘부터 전매제한 완화… 서울 수혜지역은 어디?
- 검찰, '효성 형제의 난' 조현문 전 부사장 재수사 지시
- [부동산 공기업 ⑤] 국민 피해 적극 지원하는 '소방서' 주택도시보증공사
- 경찰, '정자교 붕괴사고' 관련 성남시·분당구 등 압수수색 나서
- [날씨] 꽃샘추위 전국 강타… 서울 아침기온 3도까지 '뚝'
-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3개월 만에 1.8조 '급증'… 연체율도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