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 극장을 떠났던 관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범죄도시’, ‘슬램덩크’ 등 영화관에서 볼만하거나 이미 많은 관객으로부터 검증된 작품이 나왔을 때만 극장에 방문한다.
관객들이 극장을 찾지 않게 된 이유는 분명하다. 과거에 비해 너무 오른 티켓 가격 탓이다. 현재 영화관람료는 평일 기준 약 1만4000원, 주말은 1만5000원이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무려 4000원이 올랐다.
물론 영화관은 팬데믹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분야 중 하나다. 티켓을 인상한 이유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실적이 개선된 상황에서도 영화관들이 가격을 내릴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타짜’와 ‘암살’ 등을 만든 최동훈 감독이 공개적으로 티켓값 조정 필요성을 말할 정도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관객들은 영화를 봐야 할 이유를 찾기 시작했다. 여기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까지 대체재로 떠올랐다.
영화관업계는 가격 인하를 검토하기보다는 기술 특별관 등에 투자를 늘려 관객을 유인하겠단 입장이다. 진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면 관객들은 돌아온다는 것이다.
또 일부 영화관에서는 좌석을 떼어내고 그림 전시를 하거나 스포츠 클라이밍 시설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이런 전략이 관객 마음을 사로잡을지는 의문이다. 현재 영화관의 문제는 티켓 가격이다. 영화관람료 인하를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면 관객들의 발걸음이 더 줄어들 것이 분명하다.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