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발생한 거짓 구매후기 광고를 적발해 제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공정위는 소비자 기만행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위법사항 적발 시 엄중히 제재할 계획이다.”
이른바 ‘빈박스 마케팅’에 과징금을 부과한 후 공정거래위원회가 밝힌 입장이다. 소비자 입 속으로 들어갔는데, 피해대책이나 처벌수위 강화 등의 내용은 없다. 과징금만 물리고 흐지부지 됐다.
지난달 말 공정위는 건강기능식품 판매업자인 한국생활건강에 1억4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광고대행업자인 감성닷컴에는 시정명령을 내렸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빈 박스 마케팅 방식으로 2020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2708개의 거짓 후기를 게재했다.
허위 후기 게재는 체계적이었다. 한국생활건강이 특정 제품의 허위 구매후기 작성을 의뢰한 후 감성닷컴이 제품등록, 아르바이트생 모집, 빈 상자 배송, 구매대금 환급 등 업무를 직접 수행했다.
감성닷컴이 모집한 아르바이트생들은 개인 아이디와 결제 수단을 이용해 한국생활건강의 제품을 구매하고, 빈 상자를 배송받은 후 실제 제품을 구매한 것처럼 허위로 후기를 썼다.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거짓·과장의 표시광고)’ 위반이다.
소비자는 온라인으로 제품을 살 때 업체의 설명보다 구매후기를 더 신뢰한다. 구매를 고민하는 물건을 사용해 본 일반인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궁금해서다. 이는 구매버튼 클릭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크게 신뢰하는 정보인 만큼 객관적인 내용이 실려야 한다.
허위 후기를 적발한 건 칭찬할 일이다. 다만 유사한 일이 반복되는데 구체적인 대책이 안 나온다. 소비자를 기만한 허위광고 사건이 불거질 때마다 공정위는 엄중한 제재를 말한다. 제재는 언제 엄중해지는가.
- [기자수첩] 끊이지 않는 '노조괴담', 이제는 바로 잡을 때
- [기자수첩] 국내 부동산시장이 메말라간다
- [기자수첩] 치킨값 올리고, 가맹점 핑계는 '그만'
- [기자수첩] 글로벌 톱3 현대차, 품질문제 더는 없어야
- [기자수첩] 말도 안되는 '집값 조작', 솜방망이 처벌 그만
- [기자수첩] 지금이 전기료 인상할 '마지막 기회'
- [기자수첩] 비정상적인 티켓값, 이러면 영화관은 못 웃는다
- [기자수첩] 한국 반도체 미래, 삼성전자의 선택에 달렸다
- [기자수첩] 우려는 기우였다… 비대면진료 제도화,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
- [기자수첩] 가격 올리고선 '스타 모시기'… 비용은 소비자 몫?
- '허위광고' 논란 여에스더, "잘못 드러나면 책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