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빈 기자
고정빈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부동산시장에 부는 찬 바람이 갈수록 거세진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완화에 나서면서 거래량은 반등 조짐을 보였다. 지난해보다는 확실히 회복세를 나타냈지만 지방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부동산 가뭄’이 지속된다.

주택시장 침체기가 지속되자 입주물량도 뚝 끊겼다.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경기침체 불안, 고금리 등을 이유로 건설사들은 쉽게 분양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금 시장을 고려하면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이 몸을 사리는 것도 이해가 된다.

부동산이라는 재산은 결코 가볍지 않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까지 막대한 금액이 매겨져 쉽게 포기하기 힘들다. 다만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지켜보기만 한다면 방법이 없다. 시장이 안정화되기는 커녕 오히려 상황만 악화된다.

정부가 시장 안정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인 결과 거래량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신호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다음 달 서울에 입주되는 물량은 한 곳도 없다. 부동산시장 중심으로 평가되는 서울에 공급되는 아파트가 없다는 게 말이 되는가.

부산·강원·충남·충북·세종 등 지역에서도 다음 달 예정된 물량이 없다. 얼어붙은 분양시장이 몸소 체감된다. 대부분 건설사들은 이미 쌓인 미분양 물량을 털어내기 바쁜 것이다. 손해가 막심한데 선뜻 내놓기 부담스러운 것도 납득이 간다.

역대급 침체기에 빠졌던 지난해 부동산시장과 비교하면 올해는 출발이 좋다. 정부의 규제완화가 제대로 먹힌 것 같다. 어느정도 칭찬받을만 하지만 이럴 때 일수록 낙관해서는 안된다. 거래가 활발하고 집값이 안정화됐던 시절과 비교하면 아직도 부동산시장은 메마른 시장이다.

거래는 한 쪽이 손해보기 마련이다. 집값이 고점일 때 구매하면 손실이 나고 저점일 때 팔아버리면 시세차익을 볼 수 없다. 불가피한 조건이다. 공급자들도 모든 사업에서 수익을 기대하면 욕심이다. 정부의 방향에 맞춰 수요자 공급자 모두 한 발 물러서고 시장을 위한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