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전기료 인상' 등 이유로 14% 가격 인상 결정
건설업계와 충돌 전망… "공사현장 셧다운 우려 더 커진다"
분양시장 침체기 지속… "손해 막심해 공사비 인상 불가피"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시멘트업계가 가격 인상을 요구하면서 건설업계와 갈등이 빚어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건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분양가도 자연스럽게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수요자들의 새집마련 꿈은 점점 멀어질 조짐이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C&E는 지난달 말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톤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14.1%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성신양회는 다음 달부터 톤당 10만50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최근 각 레미콘 제조업체에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업계는 ‘전기료 인상’을 가장 큰 이유로 꼽는다. 통상 시멘트를 만들 때 전기료는 제조 원가의 20∼25%를 차지한다. 올해 전기료가 지난해 대비 크게 올라 이익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반면 건설업계는 시멘트 제조 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이 급락했기 때문에 가격인상은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수입협회 국제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업체가 주로 수입하는 호주 유연탄 톤당 가격은 지난달 말 기준 135달러로 지난해 9월 말 436달러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처럼 건설업계와 시멘트업계의 주장이 충돌하면서 또 다시 건설현장 셧다운 우려가 커진다.
최근 분양시장은 침체기에 빠졌고 전국 곳곳에서는 공사비 갈등을 이유로 현장이 멈추고 있다. 특히 양측의 갈등이 심화되면 한 쪽에서는 파업을 강행하기 때문에 공사를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한다.
건재자 가격이 인상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분양가 인상이다. 건자재 가격이 오르면 건설사들은 어쩔 수 없이 인상분을 분양가에 적용할 수밖에 없다. 인상된 분양가격은 그대로 수요자들에게 부담으로 전가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평당 평균 분양가는 1753만원이다. 분양시장 침체에도 아랑곳 없이 지난해 평균 분양가(1521만원)보다 15.3%(232만원) 급등했다. 건자재 가격이 오르면 분양가는 앞으로 더 오를 전망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업계의 요구도 어느정도 이해되지만 건설사들 상황도 분명히 좋지 않다. 시장 분위기도 쉽게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아 우려가 크다”며 “인건비도 오른 상황에서 손해를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인상분을 반영한 분양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메타센서] 강남 올해 아파트 입주물량 1만가구… 전세가격 더 떨어지나
- '세트피스의 마술사' 김은중호… 이탈리아 꺾고 '새역사' 쓸까
- 달아오른 반도체주 어쩌나… 3분기에도 수요개선 어렵다
- 국세청, GS건설 세무조사… 아파트 주차장 붕괴와 무관?
- [내집 마련 캘린더] 집값 반등 기지개… 상승 전 마지막 '청약찬스'
- 안양 '평촌 센텀퍼스트', 분양가 10% 낮춘 할인 정책 실시
- '워케이션' 열풍… 일하면서 오션뷰 즐기는 '제주 엘리프 애월' 주목
- BJ감스트·뚜밥, 1.5만명 시청한 리타 리그오브레전드 대결 미션 승리
- 수요자 부담 최소화한 계약 조건… '힐스테이트 원주 레스티지' 눈길
- 우수한 정주여건 갖춘 광주 '상무센트럴 자이' 기대감 급상승
- 파워뱅크 브랜드 에코플로우, 휴대용 인산철 파워뱅크 외 신제품 출시
- 자영업자 5년간 180만명 늘었는데… 소득은 매년 감소했다
- 규제완화 영향… 서울 '6억∼15억원' 아파트 전체 거래 60% 차지
- 프랑스 '반도체 전쟁' 참전 본격화… 현지 공장 설립에 4조원 투입
- LH, 주택건설사업자 대상 의왕청계2 첫 토지공급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