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가 미국 보스턴·샌디에이고·콜로라도 등에서 현지 주요기관 및 단체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선진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고 12일 밝혔다.
노 회장은 지난 5~8일 열린 ‘BIO USA 2023’을 계기로 보스턴을 방문했다. 보스턴은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하버드 등 명문대를 중심으로 제약바이오기업·연구소·병원 등이 밀집한 세계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다.
지난 7일 BIO USA 행사장을 찾은 그는 강스템바이오텍, 우정바이오 등이 들어선 한국관을 비롯해 롯데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에스티팜, 휴온스글로벌 등 기업 부스를 둘러보고 참가자들을 격려했다.
같은 날 BIO USA와 연계해 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등 7개 기관이 공동 주최한 ‘코리아 나잇 리셉션’에는 700여명이 참석해 활발한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다.
노 회장은 지난 9일에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 산학협력프로그램(MIT ILP) 주관 기관을 방문해 존 로버트 MIT ILP 총괄이사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지난 3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협회와 MIT ILP가 수차례 종양학, 약물전달 등에 대해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하고 지난해 11월 최초의 대면행사 등 교류가 이어진 것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미국시장에 적극 뛰어들고 있고, 정부가 보스턴 클러스터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만큼 향후에도 협회와 MIT ILP 간 지속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이밖에도 협회는 지난 10일 미국 콜로라도에서 미국헬스케어유통연합(HDA)이 개최한 비즈니스 리더십 컨퍼런스에 우신라보타치, 한림제약, 휴온스USA 등과 참석해 참가기업들의 미국 내 유통망 확보를 지원키로 했다.
12일 샌디에이고에서는 미국 바이오컴 캘리포니아(Biocom CA)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정보 교류와 세미나 등 네트워킹을 지속하기로 했다. 바이오컴은 캘리포니아에 본부를 둔 생명과학 산업 허브로 1700여개 글로벌 제약사, 벤처캐피탈, 바이오기업 등이 멤버로 소속돼 있다.
노 회장은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이 필수적”이라며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발맞춰 더욱 활발하게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 거래소, 오상헬스케어 등 3사 코스닥 상장예심 접수
- 코스피, 장 초반 상승분 반납 후 약세 '2637선' 등락… 코스닥도 밀려
- LG화학, 코스맥스와 친환경 화장품 용기 개발·글로벌 마케팅 협력
- 안동시-대구지방국세청,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단 육성 지원 협약
- [불황 넘는 철강사 ②] 사업 확장·미래 청사진 제시… "목표점은 하나"
- 기보, '복합경제위기 극복' P-CBO 1075억원 발행
- '먹는 비만치료제' 나온다는데… 시중 판매는 언제쯤?
- 뜨거워진 '암 진단보조'… 루닛·지노믹트리, 시장 달군다
- [엔데믹도 특수 ①] '계열 내 최고' 도전하는 한올바이오파마
- 휴온스그룹, KLPGA 방신실과 서브 후원 계약 체결
- 셀트리온헬스케어,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 미국 출시
- [엔데믹도 특수 ④] '개량신약 강자'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매출·수익 다 챙긴다"
- [엔데믹도 특수 ⑤] 당뇨병 신약 내놓은 대웅제약, "영업력 총동원한다"
- 국내 최대 의약품 도매업체 '지오영' 매물로 나왔다… 몸값 2조 거론
- [엔데믹도 특수 ⑥] '직판체제 완성' 점유율 확대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
- JW중외제약, A형 혈우병치료제 '헴리브라' 론칭 심포지엄 성료
- 휴온스바이오파마, 제천 바이오3공장 착공
- 삼성바이오에피스, 1조 투입해 미국 바이오젠 복제약부문 인수 추진
- 롯데바이오로직스, 로슈진단과 CDMO 사업 고도화 업무협약 체결
- 휴온스그룹, 2분기 영업익 365억… 전년 대비 77%↑
- 제약바이오협회, 제15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 개최
- 휴온스그룹, ‘ESG 협의체’ 발족
- 롯데바이오로직스, '바이오재팬 2023' 참가
